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꼬락
새끼발가락
새끼
쌔끼
발끝
d라이브러리
"
발가락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숨어라~!
발가락
보일라~.”안녕? 난 수원청개구리라고 해. 나랑 술래잡기하지 않을래? 가위, 바위, 보! 내가 이겼다. 지금부터 네가 술래야. 어서 날 찾아봐~!먼저 내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 줄게.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크기 2.5~4㎝.노래주머니 수컷은 노래주머니가 있고, 대부분 노래주머니가 ... ...
INTRO. 인간과 말 가장 아름다운 진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함께 말의 진화가 화제가 됐다. 고양이만한 동물이 몇 단계를 거쳐 몸집이 커지고
발가락
수가 줄면서 오늘날 말이 됐다는 교과서의 서술 내용이 틀렸다는 것이다. 사실 학계에서는 이미 ‘점진적인 직선형 진화’로 불리는 이 모형을 더 이상 쓰지 않지만 말의 진화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후기 마이오세에 히파리온류, 프로토히푸스와 함께 멸종했고 그 중 한 그룹이 살아남아
발가락
을 한 개로 줄인다. 발굽이 한개로 줄면 달릴 때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절(fetlock) 주위로 인대가 발달한다.발굽이 한 개인 원시 말 가운데 플리오히푸스(Pliohippus)는 현생 말(Equus)과 매우 유사해 현대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무릎으로 부른다)은 사실 사람의 발목에 해당한다. 말은 빨리 달리게 진화하면서
발가락
뼈가 극적으로 늘어나 다리의 3분의 1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결국 땅에 닫는 발굽은 사람으로 치면 발톱에 해당한다. 즉 사람이 말처럼 서있으려면 발레리나가 돼야 한다.말 뿐 아니라 영양 같은 다른 유제류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인류학자 니나 야블론스키 교수는 지난 2006년 펴낸 책 ‘Skin(피부)’에서 손가락,
발가락
끝의 지문은 영장류가 나무를 잘 타기 위해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즉 피부표면의 미세한 굴곡이 나무를 잡을 때 미끄러지는 걸 방지한다는 것. 흥미롭게도 신세계원숭이는 꼬리에서 나무를 감는 쪽의 피부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평행을 이루고 있어야 합니다(우리가 그런
발가락
을 갖고 있습니다). 라미두스의
발가락
은 이종이 걸었을 뿐 아니라 나무도 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20세기 후반에 정설로 인정받던, ‘최초의 인류는 직립보행을 했다’는 가설이 위태로워진 것입니다.주변 생태를 연관지어 보면 문제가 더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발생학 연구에 이용된 개구리가 바로 아프리카발톱개구리(african clawed frog)입니다. 뒷발
발가락
3개에 검은 발톱이 달려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죠. 남아프리카에 살고 있던 이 친구가 채택된 건 실험에 유리한 특성 때문이지요. 키우기 쉬운데다가 알도 커 실험하기 좋지요. 또 올챙이도 투명해 혈관의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물의 굴절률 때문에 앞을 잘 볼 수 없다.손도구를 사용하고 걸어다니는 인간은 손가락과
발가락
이 나눠져 있다. 헤엄을 치기보다는 물건을 잡기 좋은 구조다.농도로 숨쉬는 아가미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흡수하는 ‘아가미호흡’을 한다. 아가미에 넓게 분포한 ... ...
아기와 생쥐, 같은 걸음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교대로 앞쪽으로 움직이도록 명령을 내렸다. 걸음을 막 뗀 어린아이와 성인의 신경계는
발가락
을 땅에서 떼거나 닿게 하도록 추가 명령을 내렸다.연구팀은 사람뿐 아니라 쥐와 고양이, 원숭이, 새도 나이에 따라 신경계가 내리는 명령이 동일하게 복잡해지면서 걸음마를 배운다고 결론 내렸다. 특히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신발 뒤축에서 발이 쉽게 움직이면 맞지 않는 신발이다. 또 신발 앞부분의 접히는 부분이
발가락
의 접히는 부분과 같아야 편하게 신을 수 있다.내 신발로 확인하는 걸음걸이!신발을 뒤집어 보세요. 밑창에 어느 부분이 가장 많이 닳았나요? 양쪽 발뒤꿈치의 바깥쪽 부분이 조금 더 닳았다면 바르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