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못"(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People] 사람 살리는 수학자 수리생물학자 김재경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뒤늦게 뛰어들어 수학자가 됐다. 그럼에도 60여 년 동안 노벨상을 탄 과학자도 못 푼 ‘생체시계’ 문제를 2014년 획기적으로 해결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그러다 2015년 우리나라에 수리생물학을 키우겠다는 일념으로 한국에 돌아와, 현재 사람의 건강과 관련해 10여 개의 공동 연구를 진행할 ... ...
- 공동연구 잘~하는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핵심인 ‘약물대사효소의 농도’도 김 교수가 제안한 겁니다. 저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못한 개념이었어요. 연구를 내면 논문 검수자의 중요한 질문에 답하고 결과를 수정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때 저와 김 교수의 의견에 차이가 있었어요. 저는 약학적인 입장에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둔 채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풀어요. 동우가 어떻게 푸는지 보면 감이 잡히거든요.김동우 둘 다 고민을 많이 했는데도 못 푸는 진짜 어려운 문제도 있어요. 그때는 칠판에 써놓고 함께 풀어요.권태영 각자 분필을 잡고 생각날 때마다 풀이를 써나갔어요. 칠판에 적어 놓고 한 시간 동안 매달려서 겨우 푼 문제도 있어요. 그렇게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미지로 바꾸는 AI(확산 모델)가 적용됐어요. 2023년 2월 업데이트 예정인 투닝은 그림을 못 그리는 사람도 글만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최초의 한국어판 그림 생성 AI가 될 거예요. 지금은 웹툰 한 컷만 제작해 주지만, 향후엔 캐릭터를 고정시켜 연재물이 가능하게 발전시키고 싶어요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vs. 전파, 당신의 선택은? 순응 학습은 우리 인간 사회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하다못해 순대를 어떤 양념에 찍어 먹는가도 지역별 순응 학습의 결과물일 수 있다. 나는 인천과 서울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며 순대를 고춧가루와 후추가 섞인 소금에 찍어 드시는 부모님을 보며 자랐다. 고추장이나 쌈장 ... ...
- 야! 너두 할 수 있어....POSTECH 학생들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어떤 값이 하나 더 있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힌트를 교수님께서 주셨는데, 답을 못 찾고 인성 면접으로 넘어갔어요. 인성 면접 중간에 답이 딱 생각이 나더라고요. 끝나기 전에 베타가 이 값인 거 같다고 말했더니 교수님께서 만족하시더라고요. Q. 수학 공부 꿀팁을 준다면요? 유성:요행을 바라지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신이 세계를 7일 만에 창조했고, 자신의 형상을 본떠 아담을 만들었으며,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가 3일 후에 부활했다는 이야기가 어떻게 안 의심스러울 수 있었을까요? 그러나 기독교 신앙을 배척한다는 것은 러셀에게 가정에서의 완전한 고립과 정체성의 상실을 의미했습니다.불편한 마음을 ... ...
- [수학상위 1% 비밀무기] 서울대 수리과학부 새내기 어재혁의 합격 비결은 ? 필사와 수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끝난 후에는 친구들과 어떻게 풀었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그래도 풀지 못한 문제가 있으면 선생님께 가서 바로 물어봤어요. 사실상 7시간 동안 수학 시험을 친 거나 다름없었지요. Q. 서울대 수리과학부에 가고 싶었던 이유가 있나요?수학이 너무 재밌어서 평생 할 수 있겠다 싶어서요. 전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 부분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중입자가속기는 한국이 그동안 한번도 만들지 못했던 기초과학 시설입니다. 세계 10위권에 드는 한국의 경제력, 그리고 탄탄한 제조업 덕에 이제는 이룰 수 있게 됐습니다. 우리 기술로 지을 수 있고, 짓고 있습니다. 이 단계가 끝나면 이곳은 세계 최고의 중이온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내가 직접 뉴턴 뺨치는 과학자가 되어 봄 PRINCIPIA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림을 못 그려서 논문을 거부당했다?! 17세기 유럽은 ‘과학혁명’의 시대였습니다. 아직은 과학이라는 단어가 지금처럼 쓰이지 않던 그때, 유럽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자연의 신비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아이작 뉴턴은 물론, ‘보일의 법칙’을 발견한 로버트 보일, 탄성체에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