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돌연변이"(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가솔린 자동차의 배기가스로 나타났다. 세포독성 수치와 DNA 손상 정도는 높았지만, 돌연변이 발생 정도가 비교적 낮았다. 농작물을 태울 때 나오는 연기, 화력발전소의 매연, 도로변 먼지가 순서대로 뒤를 이었다. doi:10.1038/s41598-018-35398-0 미국 애리조나주 사막 등에서 포집한 모래먼지는 모든 독성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효소, 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연구부터 분석해 봐야겠어~. 일단 노벨 화학상부터~!‘인위적으로 효소에 돌연변이를 일으켜….’ 잠깐만! 효소가 뭐지? 효모랑 다른 건가? 효소는 단백질의 일종이에요. 생물체의 몸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반응에 참여해 촉매 역할을 하지요.효소는 ‘효모 효(酵)’와 ‘본디 소(素)’가 합쳐진 ...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방법을 개발했답니다.그 결과 아널드 교수는 인위적으로 효소의 유전자에 여러 가지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이 중에서 원하는 효소를 찾아낼 수 있게 됐어요. 이후 이 기법은 계속해서 개량됐고,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들어내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답니다. 바이러스를 이용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는 과정에서 돌연변이를 자주 일으켜요. 새로운 돌연변이가 생기면 그에 맞는 백신을 새로 만들어야 해요. 이전에 만들어놓은 백신은 사용할 수 없지요. 우리가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랍니다. 스토리 토끼의 미션을 해결한 ... ...
- [과학뉴스] 배고플 때 예민? 이유 있었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증가했다. 그런데 공복 상태일 때 활성화되는 인슐린 유사 수용체 ‘DAF-2’가 제거된 돌연변이에서는 이러한 회피행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평소 포만 상태일 때는 장 내의 인슐린 유사 펩타이드 ‘INS-18’이 감각 신경의 인슐린 유사 수용체 DAF-2의 기능을 억제하지만, 공복 상태가 오면 DAF-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 부모에게 생긴 일이 배아에 전해지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정자나 난자의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것도 아닌데 한 세대가 겪은 환경 변화나 질병 등이 다음 세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세대 간 후성유전(transgenerational epigenetics)’이라고 부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생물학계에서 ‘핫’한,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암세포의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나타나면서 생기는데, 이 역시 골칫거리다. 암세포의 돌연변이가 다양한 패턴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지난 50년 간 과학자들은 항암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기술적인 한계로 암세포 여러 개를 한꺼번에 분석하는 방식이어서 이질성이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항암제다.표적 항암제는 백혈구 감소나 탈모와 같은 부작용은 적다. 하지만 암세포는 돌연변이가 흔히 일어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 가지 표적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기 쉽다. 일단 내성을 갖게 된 암세포는 해당 표적 항암제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암이 쉽게 재발할 수 있다. 이런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더욱 발전했다. 방향적 진화를 통해 항체의 기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때 돌연변이가 도입된 항체들을 표지해 분별하는 시스템으로 파지 디스플레이를 활용한다. 파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면 100억 개 이상의 변이체들도 빠르게 분별할 수 있어, 항원 결합력과 특이성이 우수한 항체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소장 안쪽에 위치한 세포는 이를 감지해 손을 어디로 뻗어야 할지 알게 되는 겁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Wnt5a를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배아의 경우, 소장의 길이가 정상보다 현저히 짧다는 사실은 2007년에 논문으로 알려졌습니다.doi:10.1016/j.ydbio.2008.11.020 이번 구무시오 교수팀의 연구는 Wnt5a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