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의"(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빙하가 녹으면 어떤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렇게 해안가에 자리 잡은 도시들이 물에 잠기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답니다. 고산지대의 빙하가 녹으면 빙하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어요. 빙하 쓰나미란 빙하가 녹으면서 물줄기가 산 아래로 내려와 마을을 쓸어버리는 거예요. 과학자들은 히말라야 전역에 빙하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는 호수가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다른 쪽 다리와의 높이 차이가 생기면서 방향 전환이 이뤄지는 원리다. 기문 인식은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스테레오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사람의 눈처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카메라를 설치한 뒤 하나의 물체(기문)에 초점을 맞추도록 설정한 시스템이다. 카메라가 동시에 기문을 촬영하면 이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설명이 끝나고, 친구들은 여러 대의 드론이 군집비행을 하는 영상을 봤어요. 여러 대의 드론이 열을맞춰 움직이는 장면을 보고, 친구들은 감탄했답니다. 연구실 탐방을 마친 강민재 친구는 “평소에 보지 못했던 다양한 드론을 직접 볼 수 있어서 무척 좋았다”며, “드론을 타고 이곳저곳을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가까운 위치에 있는 외계행성은 태양빛이 너무 밝아서 관측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두 대의 우주선을 발사한 뒤, 한 대로 외계 태양빛을 가리고 다른 한 대로 외계행성의 주기나 궤도 등을 관찰하는 거예요. 이때 얇고 커다란 막을 이용해 외계태양의 빛을 가릴 계획이에요. ‘별 그림자’라고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초소형 위성은 고도 400km에서 우주 엘리베이터에 대한 기초실험을 수행하고 있어요. 두 대의 위성은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낚싯줄과 같은 특수 케이블로 연결돼 있답니다. 고도 400km 부근에는 공기가 아주 희박해요. 이 공기의 저항에 케이블이 어떻게 흔들리는지, 어떻게 늘어뜨렸을 때 가장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속력의 세계타이어 네 개를 바꾸는 시간 2.9초, 역대 최고 속도 시속 356km, 레이싱카 한 대의 평균 가격 약 100억 원…. ‘속도의 예술’이라 불리는 자동차 경주 대회 포뮬러 원(Fomula 1)의 이야기예요.흔히 F1이라고 부르는 이 자동차 경주 대회는 예선을 통과한 10명의 선수가 총 21개의 경주에 참여해 ... ...
- [현장취재➊] 수리부엉이의 집은 몇 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집은 산 전체?!‘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는 두 달에 한 번씩 열리는 지구사랑탐사대의 특별 강연이에요. 첫 번째 강연의 주제는 ‘생물의 서식처 문제’였어요. 강연은 ‘어쓰 디자인 웍스(Earth Design Works)’의 김영준 감독님이 만든 단편 애니메이션 을 보며 시작됐어요.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잘 뛰고, 잘 날고, 잘 헤엄치고, 잘 짝짓기하는 개체를 만든다. 그러나 종을 보존한다는 대의를 실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산아 제한을 하거나, 동종 개체와 싸울 때 살짝 때리는 시늉만 하는 개체를 만들진 않는다. 이제 두 개의 선택지가 남았다. 개체 선택론과 유전자 선택론이다. 둘 다 정답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높을수록 시술시 통증은 크다. 박 원장은 “기계에 따라 다르지만 600~900nm파장대의 레이저를 사용한다”며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파장을 조절하며 시술한다”고 말했다. 멜라닌 색소 공격이 핵심이다기자는 올해 1월부터 레이저 제모 시술을 총 7차례 받았다. 얼굴 부위 털의 성장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구해온 영국 워릭대 화학과 바실리오스 스타브로스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다음 세대의 자외선차단제는 자연에서 배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식용, 약용으로 쓰이는 국화과 꽃의 추출물, 해조류에 들어있는 마이코스포린유사아미노산(MAAs) 성분 등을 천연 자외선차단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