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품
유품
선물
기념관
기념비
유적
기념시설물
d라이브러리
"
기념물
"(으)로 총 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많은 들쥐는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羽角, 우각)이 있으면 부엉이로, 없으면 올빼미로 구분하기도 한다. 한국은 올빼미를 천연
기념물
(제324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올빼미는 곤충부터 개구리, 물고기, 작은 들새와 들쥐까지 동물성 먹이를 주로 먹는다. 이가 없기 때문에 먹이를 통째로 삼킨다. 그래서 몇 시간 뒤 소화시키지 못한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펼치기도 했단다. 귀신고래 소식 고래는 물고기야 포유류야?귀신고래천연
기념물
제126호인 귀신고래는 몸길이 16m, 몸무게 35톤의 대형 수염고래다. 30년 전까지 동해를 즐겨 찾았지만 한국 개체군은 1974년 멸종된 것으로 보고됐다. 하지만 최근 사할린에서 100여 마리가 사는 것이 발견됐다. 무려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뛰어다닐 정도로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말했다. 현재 연구소와 경주시는 2011년에 천연
기념물
로 등록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유전자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SNP(단일염기다형성)*게놈에서 DNA 염기 종류가 개체별로 다른 부분. SNP가 생기면 해당 자리의 아미노산 종류가 바뀐 단백질이 만들어지거나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집을 만들 때 쓴 매듭을 보면 ‘매듭 강사’라고 불러도 좋을 정도다.우리나라 천연
기념물
인 황새는 커다란 부리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친척뻘인 백로나 두루미보다 큰 먹이를 먹을 수 있다. 그런데 황새의 부리는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로 소리를 내는 기관. 황새는 울대가 없기 때문에 ... ...
“꼭꼭 숨어라 집게발 보인다~” 소백산에서 희귀종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있지요.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는 사마귀게거미 말고도 천연
기념물
7종류와 멸종위기야생동물 19종류가 살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지정돼 있다. 이 때문에 사요에서는 등갓을 씌운 가로등을 쉽게 볼 수 있다. 간판이나
기념물
의 조명에까지 광해를 줄이기 위한 규칙을 정해놓았다. 빛이 하늘로 퍼지는 일반 가로등이 만드는 광해를 100%라고 할 때 등갓을 씌운 가로등이 일으키는 광해는 5% 정도밖에 안된다고 한다.사요역에서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어 사구의 형성과정이나 과거의 환경을 연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돼지. 그래서 천연
기념물
제431호로 지정돼 있어.”조간대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나는 곳.해빈강물에 의해 바다로 실려 온 모래가 파도에 의해 이 곳에 쌓인다. 모래는 천연 풍향계모래 표면에 나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드디어 그가 돌아왔다! 정월 초하루 12마리의 동물이 숨이 턱까지 차도록 달리기를 할 때, 얌체처럼 소의 머리에 유유히 앉아서 말 그대로 앉은 자리에서 일등을 먹었던 바로 그. 그래서 꾀 많고 영리하기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운 그. 11년 동안 자신의 해가 돌아오기를 쥐구멍에서 쥐꼬리 빠지게 기다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그 희귀성과 생물학적 가치를 본다면 당연히 보호대상종이나 천연
기념물
로 선정해야 한다.양서류는 변화하는 생태계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군으로 환경지표종으로도 취급되는 생물군이다.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그러나 쥐는 시궁창이나 다락,창고 같은 인간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생활했다.천연
기념물
연구소 임종덕 박사는 “인간과 쥐는 약 2600만 년 전인 신생대 올리고세 때에 갈라졌다”고 말했다. 쥐와 인간은 공통 조상을 가졌는데 이는 유전자에 지문으로 남아 있다. 실제로 쥐는 인간의 유전자와 80%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