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극단"(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준다.Q 앨리스(ALICE)가 무엇인가안티노리: ALICE는 무거운 이온을 가속해 충돌시켜서 얻은 극단적인 물질의 상태를 연구하는 실험이다. 무거운 이온을 충돌시키면 1조℃가 넘는, 태양보다 수백 배 뜨거운 온도 상태가 되는데, 빅뱅 후 수 ms(밀리 초, 1ms는 1000분의 1초) 이후의 온도가 그 정도다. 이런 ... ...
-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한국 종합 1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매우 쉽거나 모두 풀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문제를 뽑는다. 그 결과 문제 난이도가 극단적인 수준으로 갈려 학생들의 정확한 실력을 평가하기 어렵다. 그래서 수학 강대국만의 대회인 RMM이 생겼다. 수학 수준이 높은 국가들만 모이니, 문제도 질적으로 좋다.이번 RMM에 총 4명의 한국 학생이 참가해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자연스러운 결과에요(아줌마는 나를 보지 않았지만, 나는 얼굴을 찌푸렸다).어쨌거나― 극단적인 사람들은 게임이 문명과 사회만 삼킨 게 아니라 우리 인류 자체를 삼켰다고도 해요. 이에 따르면 우리는 지금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우주에 있는 게 아녜요. 게임이 만들어낸 가상 우주 속에서 게임이 ... ...
- [BJ맹추의 먹방 TV] 수학적으로 잘 먹어 보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삶아야 제 맛이라고 하시네요.이쑤신장군님. 반숙을 먹을 바엔 날달걀을 먹으라고요? 네, 극단적이군요. 아 톰과젤리님 좋은 질문 하셨는데, 반숙을 하려면 얼마나 삶아야 할지 모르겠다고요? 저도 참 궁금합니다. 시간을 잘못 맞춰서 노른자가 안 익거나 완전히 익어 버린 적이 한 두 번이 ...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우주를 기술하려는 게 비국소적 중력모형이다. 많은 이들이 인과율에 위배되는 상황(극단적인 예로, 안드로메다에서 1억 년 뒤에 일어날 일이 현재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걱정하면서 비국소적 이론에 반감을 갖지만, 실제로는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된다. 주어진 에너지 크기에서만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아주 멀었어요. 저는 고개를 살짝 흔들고 말았습니다.오빠 8, 9는 앞의 세 팀보다도 극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더군요. 중국 팀이 태연한 얼굴로 프레젠테이션을 함께했습니다.“뇌 구조와 전기 신호를 복제할 거야.”“그럼 몸은?”“몸이 왜 필요해? 이 모든 것은 결국 인류가 이 거추장스럽고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설정은 코페르니쿠스의 원리에 어긋나고, 이 규모에서 실제 물질 분포의 편차가 그렇게 극단적으로 크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가능성이 높지 않다.또 다른 설명은 ‘반작용(back reaction) 이론’에서 나온다. 이 이론에 따르면, 불균일한 물질의 분포가 우주의 평균적인 물질 밀도와 공간 팽창률에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피도 눈물도 없을 것처럼 보이는 테러리스트가 있다. 이성적 사고만으로는 목숨을 걸고 극단적인 행동을 저지르기 어려울 것이다. 그들은 자기 가족과 동료, 민족 등에 감정적으로 강렬하게 이입한다.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또 도움을 주려면 그 사람에게 감정적으로 공감을 하되, 공감에만 의존하지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 부작용으로,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이론은 벌목에 속하는 곤충(개미, 벌 등)에서 극단적인 이타성이 왜 자주 진화했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일 뿐이라는 오해도 많이 생겼다. 단수이배성 가설은 포괄 적합도 이론이 아니다. 포괄 적합도 이론의 응용일 뿐이다. 단수이배성 가설이 틀리더라도 포괄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선거와 다수결 제도는 그 수단으로 적절치 않습니다. 선거는 자주 할 수 없고, 문항도 극단적으로 단순한 객관식으로 짤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이런저런 선거연합이 합종연횡해서 이도저도 아닌 절충안을 다수파의 의견으로 만들어버리고, 그 결과 국민의 뜻과 무관한 정치꾼들이 권력을 쥐게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