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곱"(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와 식, 겁내지 말고 쪼개 봐!수학동아 l2012년 02호
- 문제를 풀어 보니, 점점 간단해지는 것을 느꼈나요? 이렇게 다항식의 곱을 간단한 인수의 곱으로 만들면 정답을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수학은 (소)인수분해처럼 커다란 요소를 쪼개어 생각하면 두려움 없이 접근할 수 있지요. 그럼 이제 인수분해를 좀 더 탐구해 볼까요?선생님 인수분해가 궁금해요 ...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오자와 교수의 부등식을 더 만족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위치와 운동량의 불확정성의 곱을 줄였다는 뜻으로, 위치와 운동량을 둘 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국내에서는 “불확정성 원리에 결함 있다”는 뉘앙스의 보도가 나와 다소 성급하게 결론 지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년 01호
- 통계의 항목들 중 곱셈과 관련이 있는 건 벤포드의 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곱셈과 관련 있는 통계 항목에서 각 값의 처음 숫자가 1, 2, 3이 아닌 다른 숫자가 더 많이 나타나거나 모든 숫자들이 같은 빈도로 나타난다면, 이 장부는 누군가 허위로 조작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미국의 몇몇 ... ...
- [수학영재캠프] 작은 것은 아름답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수학을 추구하기로 하였다.이 집합 L은 그에 속하는 어떤 두 수를 택하더라도 그 곱이 L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든 소수들을 모은 집합은 이런 성질을 만족시킬 것이다. 이런 성질을 갖는 집합들 중에서, 칸토는 “작은 수를 좋아하는” 자신의 취향에 가장 잘 어울리는 집합 L0을 ... ...
- 당연한 소재, 새로운 발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고층 건물의 옥상과 1층에서 측정한 몸무게는 다를까요? 몸무게는 질량과 중력 가속도의 곱과 같으니 중력 가속도가 고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했습니다. 이 실험은 정밀한 측정이 필요했습니다. 즉, 고도에 따른 변화가 너무 작아서 실험오차범위가 측정하고자 하는 변화값보다 컸습니다.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것은 산소 32g에 6×1023개의 산소 분자가 포함돼 있다는 의미다’ 와 같은 예가 10의 거듭제곱을 사용한 대표적인 예다.10진법처럼 생활의 근본이 되는 10에 대한 이번 여행 어땠니?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풍성한 계절 10월처럼 여러분의 마음도 숫자 10에 관한 이야기로 풍성해지길 바래. 삼각형이나 ... ...
- [수학으로 TV 보기] 복불복에서 까나리를 피하려면?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생각해보자. 전체 경우의 수는 한 사람이 낼 수 있는 경우의 수 ‘3’ 을 사람 수만큼 곱하면 나온다. 따라서 전체 경우의 수는 312=531441가지. 그중에서 11명은 보, 승기 혼자 바위를 내서 질 경우의 수는 딱 1가지므로 실제 이번 게임에서 승기가 혼자 입수자로 뽑힐 확률은 1/12이 아닌 무려 1/531441이라는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어떤 수를 영 제곱하면 왜 1인가?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어떤 수를 영 제곱한다는 것은 20, 30, 100과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거듭제곱은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했을 때, 일일이 곱한 수를 나열해 쓰지 않고 곱한 횟수를 오 ... 수는 1이므로 곱셈의 항등원은 1입니다. 따라서 항등원의 개념으로 봐도 모든 수(0을 제외한)의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답을 낼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요. 이런 현상은 사람이든 컴퓨터든 똑같죠. 이때 곱한 두 수가 매우 크면 두 수를 다시 찾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집니다. 이런 이유로 두 수를 미리 아는 사람만이 이것을 이용해 암호를 풀 수 있어요.”심경아 팀장의 설명이다. 암호를 푼다는 것은 결국 앞에서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왜 1은 소수가 아닌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물론 순서는 상관하지 않고 몇 가지 수의 곱으로 표현되는가만 봅니다.1을 소수라고 하면 6의 소인수분해는 6 = 1×2×3 = 1×1×2×3 = 1×1×1×2×3과 같이 여러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수의 소인수분해 결과가 오직 한 가지밖에 없다는 성질은 ‘산술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