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대"(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우주에서도 그림자 발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탐정이 되어볼까?”태양이 만든 그림자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은 어떻게 처음 알았을까요? 고대 그리스의 과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구의 그림자를 보고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를 찾아냈어요.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림자가 어떤 대상의 모양 그대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월식 때 ... ...
- [특집] 꼭꼭 숨어라~ ‘평행선’ 보일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길을 이루는 두 개의 선이 끝에서 만나, 마치 꼭짓점이 하나 있는 원뿔로 보여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평행선을 ‘아무리 길게 늘여도 절대 만날 수 없는 직선’이라고 정의★했어요. 그런데 원근법을 이용한 그림에서는 두 개의 평행한 직선이 소실점이라는 한 점에서 만나지요. ... ...
- [헷갈린 과학] 막대를 두드리면 맑은소리가~♪ 실로폰 VS 마림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만들어진 시기가 기원전으로 추정될 정도로 오래된 악기예요. 실로폰(xylophone)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나무에서 나는 소리’라는 말에서 유래됐어요. 처음에 실로폰은 나무로 만들어졌거든요. 실로폰은 톤바의 길이가 길수록 소리가 낮고, 나무의 종류에 따라서 음색이 달라집니다. 단단한 ... ...
- [똥손 박기자 수학체험실] 누가 더 빠를까? 신기한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곡선 타고 데구루루~사이클로이드 곡선 ‘사이클로이드(Cycloid)’는 바퀴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kuklos’에서 유래됐어요. 바퀴처럼 둥근 원을 직선 위에서 굴릴 때, 원 위의 한 점이 움직이면서 그리는 곡선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16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이름을 ... ...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단단하며 싹을 틔우지 않고도 오랜 시간을 견딥니다. 지난 2009년, 경상남도 함안군의 고대 유적 발굴현장에서 발견된 연꽃 씨앗은 분석 결과 약 700년 전 고려 시대의 것으로 밝혀졌어요. 연구자들은 이 씨앗이 살아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늪지에 싹을 틔우는 데 성공했습니다. 피어난 분홍빛 ... ...
- [이달의 과학사] 1972년 6월 30일 1초가 늘어났다? 첫 윤초 도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하루가 8만 6400초가 아니라 8만 6401초인 ‘윤초’가 더해진 날이었기 때문이지요.고대부터 사람들은 하루의 길이를 나눠서 시간을 쟀습니다. 하루의 정오부터 다음 날 정오까지를 8만 6400초로 나누어 하루라고 정한 것이죠. 하지만 이렇게 정한 초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지는 않았습니다. 달이 ... ...
- 네, 그래서 이과가 금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생각하시려거든 잠깐 멈춰보세요. 연금술은 과학과 마법이 지금처럼 구분되지 않았던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됐습니다. 이후 뉴턴에 이르기까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정체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중요하게 다룬 이론이었죠, 증류, 여과, 추출 등 실험기술도 연금술사들에 의해 탄생했으니. ... ...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플래닛 5종 경기 고딱지 대표선수 출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건 우주순찰대 최고의 인공지능 컴퓨터 ‘깊은 생각’이었습니다. 딱지도 잘 모르는, 고대 지구 행성에 전해지는 이야기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했습니다. 깊은 생각은 우주순찰대가 모은 모든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할 수 있는 초강력 컴퓨터로, 그 크기는 작은 행성만 했지요. “잘 놀다 와라~.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빠져나오자 높이 28m, 지름 20m의 거대한 공간이 펼쳐졌다. 숨이 턱 막혔다. 실험실보다는 고대 신을 숭배하기 위해 마련한 신전 같았다. 콘크리트벽에 아로새겨진 얼룩조차 벽화로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이곳에서 기다리는 건 신이 아니라 우주의 비밀을 풀 열쇠다. 중성미자와 암흑물질을 ... ...
- 몸집 작은 상어와의 먹이경쟁에 밀려 멸종? 메갈로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전지구적인 감소와 일치했으며, 먹잇감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깊었다”면서 “고대 범고래, 백상아리 같은 새로운 포식자가 등장해 먹이경쟁에 어려움을 겪고 결국 멸종하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11/jbi.12754이보다 앞서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도 메갈로돈의 멸종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