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상처 입은 동료를 치료하는 개미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에릭 프랭크 교수팀은 마타벨레 개미가 상처 입은 동료 개미를 직접 치료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병원도, 약도 없을 텐데 어떻게 치료해?개미가 상처를 입어 세균에 감염되면 피부층의 탄화수소 구성이 변해. 연구팀은 마타벨레 개미가 탄화수소의 변화를 감지해 상처 입은 동료를 구분한다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주머니에서 녹지 않는 초콜릿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입하는 중국, 미국 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어요. ☞왜 이런 일이? ➔ 결과 : 오이와 초콜릿, 환상의 조합 완성!향은 음식의 맛 에 크게 기여하는 요소 중 하나예요. 음식에서 휘발되는 아주 작은 분자가 후각세포와 결합해 우리는 향을 느낄 수 있죠. 하나의 음식에 수백 종의 냄새 ... ...
- 통계 그래프로 보는 2023 KBO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승수가 많은 상위 20명을 대상으로 승수, ERA, WAR 등 투수 지표를 이용해 그렸다. 그 결과 타자는 타율에서 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구자욱, 손아섭 선수의 눈이 크고, 홈런에서 상위권인 노시환, 최정, 최형우 선수는 코가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수는 승수가 많은 에릭 페디, 웨스 벤자민, 라울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인터뷰에서 “스프링 캠프에서 박병호 선수를 2번 타자와 3번 타자로 둘 다 세워본 결과 한 시즌에 2번 타자는 3번 타자로 나올 때보다 40타석 정도 더 설 수 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보통 2번 타자는 발이 빠른 타자를 쓴다. 1번 타자가 출루하면 안타 또는 희생 번트를 통해 주자를 득점권에 ...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그는 이 같은 방법으로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 16강에 진출한 팀의 경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승팀인 스페인의 패스 수는 다른 국가보다 월등히 많았고, 삼각형 구조로 패스를 주고받는 능력이 뛰어났다. 이뿐만 아니라 스페인 팀은 사이 중앙성 값도 작았다. 독보적인 스타 선수 중심이 아닌 모든 ... ...
- 전술의 신 5. 승리 비결은 선수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보충하지 않으면 뒤따르는 개미도 페로몬을 보충하지 않았다. 섬터 교수는 이 실험 결과와 기존의 경기력 곡선을 토대로 새로운 경기력 곡선을 그렸다. 축구도 상황에 따라 선수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경기력이 올라가지 않을 때가 있는데, 비크만의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계기가 있으면 ... ...
- 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고요. 송안나 독자위원 숏폼 콘텐츠를 자주 보는데다가, 요즘엔 게임마저 짧게 끝나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는게 좋아졌어요.이런 이유로 저는 스스로를 도파민 중독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성하다가도 어느 순간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저를 발견하기도 해요.최정원 독자위원 스스로를 도파민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버튼을 누를 때마다 먹이가 나오는 상자를 만들고 여기에 쥐를 넣어 관찰했다. 그 결과, 쥐는 먹이를 얻고 싶을 때 버튼을 누르는 평범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스키너는 먹이 장치를 바꿔서 버튼을 누르면 먹이가 나올 때도 있고, 나오지 않을 때도 있게 만들었다. 쥐는 실망하고 버튼을 누르지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되는 세기의’ 우주선이 관측되다“2008년 5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지상 검출기로 관측한 결과를 분석하다가 비범할 정도로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이 2021년 5월 27일 검출됐음을 확인했다. 이 우주선의 에너지는 2.44×1020eV에 달했다. 세계 최대의 가속기,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짝별상대성 이론 증명할까 공전 주기, 질량, 공전궤도 경사각, 기원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펄서 PSR J0514−4002E의 동반성은 ‘무거운 중성자별’, 혹은 ‘가벼운 블랙홀’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지금까지 밝혀진 정보만으로는 당장 둘 중 무엇인지 정확하게 밝힐 수 없다. 그럼에도 이번 발견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