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방울에 담은 지구와 목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4
카메라와 접사렌즈를 이용해 물방울을 찍었어요. 완벽한 원과 무늬가 일치하는 순간을
포착
하기는 굉장히 어려워요. 인내와 끈기가 있어야 아름다운 행성을 탄생시킬 수 ... ...
내가 뽑은 차세대 전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때문에 스텔스 전투기는 되도록 납작하게 만든다. 또 무기를 넣는 부분은 레이더로
포착
하기 쉽기 때문에 전파가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지그재그 모양으로 만든다. 세 전투기 중에서는 F-35 라이트닝Ⅱ가 처음부터 스텔스 기능을 하도록 디자인되었다.레이더를 흡수하는 재료와 페인트!레이더에 ... ...
별빛이 폭포수가 되어
과학동아
l
201212
있다. 마치 과일을 코로 든 것 같다. 심사위원들은 “이렇게 먼 천체를 새로 자세히
포착
하는 일은 고도의 기술과 끈기를 필요로 한다”며 “새 발견을 천체사진으로 기록한 대단한 성취”라고 평했다.원제 과일을 든 코끼리 코 | 로랑 페니에스 | 헝가리하얀 천사의 날개날개를 펼친 천사의 형상이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10
도망가 새 생활을 시작했는데, 신 체면이 말이 아니다!실제로 큰 망원경은 희미한 전파도
포착
할 수 있다. 이런 걱정으로 밤잠이 안 온다면, 우주에 이미 존재하는 광자의 농도를 들려 주는 것으로 안심을 시킬 수밖에 없다. 별에서 나오는 광자를 제외하고, 우주 공간에 있는 광자의 수는 새끼손가락 ... ...
예쁜 여자만 보면 남자들 눈 벌개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10
비교했다. 그 결과 남성은 여성보다 작은 디테일을 구분하는 능력과 빠른 움직임을
포착
하는 능력이 더 좋고, 여성은 남성보다 색감을 구분하는 능력이 좋은 것으로 확인됐다는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연구진은 밝고 어두운 색감의 막대 이미지를 사용해 대비민감도함수(CSF) 실험을 했다. 이 실험은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09
NASA)은 지난해 11월 “태양관측위성(SDO)이 관측 사상 가장 거대한 태양 흑점 폭발을
포착
했다”면서 이 흑점에 ‘AR11339’라고 이름 붙였다. 이 흑점은 길이가 9만km, 폭은 5만km로 지구보다 3배 이상 크다. 태양물리학자들은 이 거대 흑점이 내년에 가장 활발하게 폭발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나라면 ... ...
천문대장이 선물하는 최고의 천체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8
광년 떨어진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이 주변을 지나던 별을 잡아먹으면서 내뿜는 빛을
포착
했답니다. 우주에서 물장구치는 별‘퐁당퐁당 돌을 던지자~! 냇물아 퍼져라~!’동요 가사처럼 물가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일렁이는 물결파가 생겨요. 그런데 우주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나요. 이 사진은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07
박테리아를 투입해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면역세포가 박테리아를 잡아먹는 장면을
포착
했다. 허파꽈리 칩이 실제 인체와 생리적 기능이 비슷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면서 칩을 이용한 임상 실험이 전개되기에 이르렀다.항암제 부작용 없애는 단백질 발견올해 3월 서울대에 부임한 허 교수는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한가운데 떠있는 함정의 레이더에 물고기 떼가 접근하는 게
포착
됐다. 평범한 물고기 떼겠거니 가볍게 넘긴 것도 잠시, 갑자기 물고기 떼가 함정에 부딪치기 시작했다. 함정은 곧 폭발음과 함께 화염에 휩싸였다. 물고기에 달린 폭약이 함정에 부딪혀 폭발한 것이다. 도대체 누가, 어떻게 물고기를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06
11년 3월 28일 드디어 관측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스위프트 위성이 이 순간을 최초로
포착
했다.우리나라에서도 서울대 초기우주천체연구단과 한국천문 연구원의 연구진이 보현산 1.8m 망원경을 비롯한 여러 지상관측 시설을 이용해 이 현상이 실제로 조석파괴이며, 이를 일으킨 거대질량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