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억
회상
기억
추상화
d라이브러리
"
추상
"(으)로 총 33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05
썼던 거꾸로 생각해 계산하는 방법이나 □가 중학교에서는 등식의 성질과 미지수 x로
추상
적으로 쓰인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초등수학 2-1 교과서 90쪽 어떤 수□를 이용해 덧셈식과 뺄셈식으로 만드는 과정을 문장이 아닌 그림이나 수직선으로 나타낸 문제입니다. 수식 ‘10+□=1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04
지식을 쌓으면 창의적인 생각과 접근이 가능해집니다.”맥케이 교수는 문제의 핵심을
추상
화시키는 능력을 키우라고 연구원들에게 당부하고 있다. 수학적으로 풀어내는 능력보다 문제의 본질을 논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현재 가장 큰 부가가치를 내는 기업은 애플과 구글입니다. 모두 ... ...
환상의 그림나라에서 알쏭달쏭 과학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3
돌려 봐!우리가 첫 번째 수수께끼를 풀었구나! 이번엔 뭐지? 바닥에 있는 이 그림은
추상
화인가?여기 원통 모양의 거울도 있어. 이걸 저 그림 앞에 놓아 보자. 끙차~! 어엇, 바닥의 그림이 거울에 비쳐서 고양이 그림으로 보여. 파울 클레의 ‘고양이와 새’라는 그림 이잖아!아하! 이 그림은 원통에 ... ...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03
은은히 빛이 나오는 LED평판조명은 실내 어디에 둬도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때로는 현대
추상
화 같은 인테리어 효과도 준다.그런데 평판조명에 균일하게 LED소자를 깔더라도 가까이에서 보면 밝은 부분(LED소자 자리)과 다소 어두운 부분(LED소자 사이)이 있을 법도 한데, 어떻게 넓은 판에서 균일한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
수학동아
l
201002
바꾼 것이 아닙니다. 두 개 또는 그보다 많은 대상 사이의 관계를 발견해 표현하는
추상
화·일반화의 과정입니다.교과서 제대로 읽기초등학교, 중학교 1학년에서 배우는 문자는 방정식과 부등식, 그리고 함수 단원을 공부하기 위한 기초입니다. 이 글에서는 형식적인 문자가 나오기 시작하는 중학교 ... ...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과학동아
l
201002
실험했다. 특히 빨강 계통에 비해 구리가 많이 포함된 파랑이나 녹색 계통의 물감이
추상
적인 형상을 만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워홀은 새로운 미술의 정의를 내림으로써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의 경계를 흐렸다. 이에 따라 현대 화가들은 작품을 제작할 때 어떤 주제를 어떤 방법으로 표현할까를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01
않음을 자네들도 잘 알고 있지? 수학적 평면도 마찬가지지만, 그것들은 그저 단순히
추상
적 대상물일 따름이지 않은가.”“그건 그렇지!”심리학자의 말이었다.“길이와 폭과 두께만을 갖고 있는 입방체도 마찬가지로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네.”“그건 그렇지 않네!”필비가 끼어들었다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01
‘시각과 시각 사이의 간격 또는 그 단위’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너무
추상
적인 개념입니다. 시간은 분석방법에 따라 물리적 시간, 심리적 시간, 상대적 시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리적 시간에서 1초는 ‘세슘 원자가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고 1967년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10
자살을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행동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 입증했다. 이제 사회는
추상
적이고 철학적인 사유의 대상이 아니라 힘과 운동의 패턴을 보여주는 수학의 대상이 됐다. 보이지 않는 패턴 찾기 오늘날 미국 메이저리그에서는 더 이상 4할 타자를 찾아볼 수 없다. 메이저리그 최후의 4할 타자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10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좋으면 수학과 같은
추상
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실제로 어떤 수학자들은 우리가 언어를 쓸 수 있게 해주는 두뇌의 특성과 수학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특성이 똑같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제 수학을 잘 하고 싶다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