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d라이브러리
"
지층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06
박사 연구팀은 흑해 동쪽에 위치한 러시아 메즈마이스카야 동굴의 중~후기 구석기
지층
에서 채취한 두 구의 네안데르탈인 신생아 유골 25개에서 콜라겐 성분을 뽑아내 탄소동위원소 연대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이 지역의 네안데르탈인이 기존보다 수천 년~1만 년 이른 약 4만 3000년 전에 사라졌다는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05
짐 세비지와 웨인 테쳐는 일본에서 지진이 일어나면 수백km 떨어진 미국 캘리포니아
지층
의 마그마방이 수년 뒤 팽창해서 압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이탈리아 국립지질화산조사연구소는 600년간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지진과 화산 자료를 통해 마그마 방의 압력이 변한 화산 주변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05
결과 이들은 1만 2000년 전에 이미 사람과 함께 살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의 신석기
지층
에는 사람이 사육한 양과 소의 유골도 있었다. 양은 8000년 전에, 소는 6000년 전에 인간과 함께 살았던 것으로 측정됐다.사람이 만든 야생동물, 가축왜 이곳에서 사람들은 야생동물을 가축으로 만들기 ... ...
공룡화석 살펴보니… “고대 중국, 생각보다 추웠다”
과학동아
l
201104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아미오 교수는 “중국 요녕성의 ‘제홀 그룹(Jehol fauna)’
지층
에는 풍성한 깃털을 가진 공룡 화석이 많다”며 “이 공룡들이 깃털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추위를 견디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10일자에 게재됐다.아미오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102
형태다. 집의 바닥이 아니라 옥상이 숲과 흙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이런 나선과
지층
에 관한 그의 생각은 건축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훈데르트바서는 1997년 ‘블루마우’ 온천마을의 호텔과 온천 시설의 설계(163쪽)에 참여했다. 이곳의 건물은 나선의 일부인 것처럼 땅과 옥상이 연결돼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
과학동아
l
201102
지층
이 보존돼있는데다 구석기 시대의 흔적도 관찰할 수 있다. 이 밖에 독특한
지층
과 해안지형으로 주목받는 백령도와 나리분지로 유명한 울릉도 등이 후보로 꼽히고 있다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걸쳐 커다란 호수가 있었는데, 여기에 쌓인 퇴적물이 우리 나라 중생대를 대표하는
지층
인 ‘경상누층군’으로 남았어요. 남한 전체 면적의 4분의 1이나 되는 경상누층군에서 대부분의 우리나라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어요. 공룡학자들은 이 지역에 아직도 많은 공룡의 흔적이 묻혀 있을 것으로 보고 ... ...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10
충돌로 인해 메탄 생성에 유리한 고온 고압의 환경을 제공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메탄이
지층
의 틈을 따라 해저면 근처에서 두꺼운 영구 동토층과 만나면 저온 고압의 환경에서 메탄하이드레이트를 생성한다. 2) 해저 모방 반사면은 영구 동토층 등의 얼음에 메탄가스가 포획된 고체의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09
적이 있었다는 놀라운 내용이었어요. 북극루핀이라는 콩과 식물의 씨앗으로 발견된
지층
에서 함께 나온 유물로 추정컨대 최소한 1만 년은 된 씨앗이라는 거죠.그런데 이 편지 아래 구걸리 박사의 주장을 반박하는 이스라엘 연구자들의 편지도 실렸습니다. 이에 따르면 북극루핀의 경우 연대를 ... ...
발자국이 쿵쿵~, 공룡이 깨어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살아 있을 때 새 소리를 들어본 것 같기도 하고….설명을 들어 보니, 중생대, 특히 백악기
지층
에서는 공룡과 새 발자국 화석이 흔히 함께 나온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그 동안 6종의 새 발자국 화석이 알려져 있었는데, 크기가 5㎝가 채 안 되는 이 발자국도 ‘코리아나오르시스 함안엔시스’ 등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