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수
적대자
경쟁 상대
적병
앙숙
원수지간
오랑캐
d라이브러리
"
적
"(으)로 총 3,9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702
중국 춘추시대 지략가 손 무는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불태(百戰不殆)”라 고 했다.
적
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고대 지략가조차 ‘백전백승’이라는 장밋빛 전술을 논하지 않았듯이, 끊임없이 진화하는 인플루엔자를 상대로 ‘백전백승’을 단언하기란 쉽지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백악기에 살았던 수컷 공룡들도 구애 행동을 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그 증거를 가진 흔
적
화석이 지난 2013년, 미국 콜로라도 주에서 발견 ... 수많은 공룡의 발자국과 알 둥지 화석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어요. 앞으로 우리나라의 흔
적
화석에서 밝혀질 새로운 공룡 이야기를 기대해 주세요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
수학동아
l
201701
있습니다. 이렇게 도식화한 것을 ‘상태전이도’라고 부르지요. 이제 플레이어 캐릭터와
적
캐릭터, 게임 타이틀 화면과 게임 플레이어 화면 사이의 상태전이도를 나타내 봅시다.게임은 게임 요소의 상태전이도가 컴퓨터 기기 또는 스마트폰에서 동작하는 논리 회로입니다. 따라서 게임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1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날개 모양이 새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적
도에서 먼 지역에 사는 새들은 먹을 것이 부족한 추운 겨울에 음식을 찾으려고 장거리를 여행하는 철새가 돼야했기 때문에 날개가 길고 뾰족하게 진화했다. 그에 비해 열대지역에서는 1년 내내 음식을 구할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01
이용해 건강을 증진시키는 콘텐츠도 개발하고 있다. 부정
적
인 면을 줄이고 긍정
적
인 면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다. 또 언젠가는 홀로그램 기술을 실현시켜 아무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실감나게 가상세계를 즐길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701
계산해 인간의 직관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다. 하지만 다치논리회로가 구현되면
적
은 양의 전력을 써서 인간의 사고를 모방할 수 있다. 인간의 뇌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다.하지만 3진법을 비롯한 다치논리회로의 전망은 아직 장밋빛이라고만은 할 수 없다. 2진법 소자의 시대가 곧 종말을 맞을 ... ...
[Culture] 11분의 1
과학동아
l
201701
시도하다가 다시 경호원 두 사람 사이에 대롱대롱 매달리게 되었지만, 그 정도면 정상
적
인 반응 아니었을까요? 남선 오빠는 얼른 저를 피해 도망쳤습니다.그날 기준 오빠가 저를 가볍게 안고, 귀 뒤로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넘겨주며 말했습니다.“너는 오지 않아도 괜찮아. 나는 널 한 번 더 본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행성이에요. 자전축이 공전 궤도와 거의 수직을 이루며 꼿꼿하게 서 있지요. 이 때문에
적
도 부근은 종일 강한 태양빛을 받는 반면 극지방은 내내 그림자로 덮혀 있어요.2015년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수성 탐사선 ‘메신저’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성의 극지방에서 약 30cm 두께의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701
그래프는 앞사람 d명 이하와 악수한 그래프 H가 됩니다.그동안 에르되시-버어 추측은 부분
적
인 결과만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박사가 지난 2015년 r(H)≤f(d)n을 만족하는 함수 f를 찾아내 40년 난제인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했습니다. 이 박사는 어떤 상수 c 가 있어서 항상 임을 보였습니다.40년 묵은 ... ...
[과학뉴스] 갑각류 중 가장 힘 센 동물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01
된다. 특히 집게발의 힘이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금까지 구체
적
으로 측정한
적
은 없었다.츄라쉬마재단의 신이치로 오카 박사팀은 몸무게가 33~2120g인 야생 코코넛크랩 29마리의 집게발 악력을 압력계로 쟀다. 그 결과 몸무게에 따라 29~1765N(뉴턴·1N은 1kg의 물체를 1m/s2로 가속시키는 힘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