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1,9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05
체면이 말이 아니다). 아무리 이리 보고 저리 봐도 코드에는 문제가 없었다. 부품을
잘못
선택한 게 분명하다. 서로 연결이 되지 않는 유전자서열을 이어 붙이면 회로로써 기능하지 못한다. 다른 부품을 선택해서 다시 컴파일하는 작업을 두세 번 하고나니, 드디어 성공이라는 말이 떴다. 화면에는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05
조언하는 사람도 많았고요. 하지만 이용자를 신뢰한다는 정책을 펴고 있어요. 누가
잘못
된 글을 올려도 연구자 집단의 자정작용이 해결해줄 수 있을 거라고 믿죠. 그리고 익명이 아니면 할 수 없는 말이 있잖아요. 누군가는 그걸 들어줘야 해요. 브릭의 소리마당에는 연구현장에서 겪는 심각한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05
게 아니야. 우리가 회개와 속죄로 만들어 내는 거지.” 그럼 저희들이 저지르고 있는
잘못
까지 대속한다는 건요?“우리가 이렇게 속죄할 수 있는 길을 너희들한테 보여줘서 너희들도 자연스럽게 속죄할 수 있도록 돕는 거지. 아니면 도대체 누가 누구 죄를 대속한다는 거야?”#6“아뇨. 절대 안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05
시스템 앞에서 강화영 UNIST 디자인및인간공학부 연구원(석사 2년)이 부드러운 목소리로
잘못
된 자세를 바로 잡았다. 이곳에 와서 자세교정을 하고 가는 사람이 기자뿐만은 아닌듯, 그녀는 익숙하게 좋은 자세로 책상 앞에 서게 했다. 몸에는 총 8개의 근전도 센서와 동작을 인식하는 마커 7개가 붙어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
과학동아
l
201605
그런데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이 유의확률을 특정 가설이 참/거짓일 확률로
잘못
해석한다.연구자가 유의확률에 영향력을 행사해 연구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만들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유의확률이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실험을 계속하는 방법과(실험 데이터를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05
이 왜곡을 바로잡는 치료가 최우선이죠.”하 박사가 말했다. 인지적 왜곡이란
잘못
된 기억으로 인해 왜곡된 신념을 기반으로 현실을 이해하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릴 적 신체적 학대와 함께 ‘넌 주워온 아이야’라는 학대성 발언을 지속적으로 들은 아이가 있다고 해보자. 이 아이는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형광 물방울이 더욱 선명하게 보였답니다.실험에 참가한 친구들 중에는 양극과 음극을
잘못
연결하거나 구리선을 제대로 꼬아 주지 않아 전구의 불이 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어요. 하지만 모두 포기하지 않고 차근차근 문제점을 찾아 해결해 나갔어요. 그 결과 실험에 참가한 20명의 친구들 모두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과학동아
l
201605
주변 교수들이 연구비를 십시일반으로 모아줘 하루하루 버틸 수 있었다. ‘내가 무슨
잘못
을 한 걸까’라는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그가 알던 한 동료는 병에 걸려서 학계를 떠났다. 이 바닥에선 무슨 이유로든 논문을 2~3년 못 쓰면 ‘아웃’이다. 이렇게 한번 떠나면 다신 돌아올 수 없다. ... ...
[Tech & Fun] 왜 피해자를 비난하기 쉬울까
과학동아
l
201605
안 했는데 그런 일을 당했을 리 없다’며 피해자를 비난하는 것이다. 이는 곧 나는 그런
잘못
만 하지 않으면 그런 일을 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이어진다(J PersSoc Psychol. 2000 Aug;79(2):165-73). 하지만 이런 식의 통제감은 환상에 가깝다.우리가 거짓된 믿음을 유지하는 동안 피해자는 2차 가해로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04
자료 분석이 ‘사고’낸다재현성 문제의 원인은 다양하다. 최근 주로 지적되는 것은
잘못
된 자료 분석 관행이다. ‘영가설 유의성 검정(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 NHST)’으로 알려진 이 절차는, 그동안 과학자들이 가설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해 온 통계 방법이다. 이 절차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