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자신"(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06
- 로봇공학과 IT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구체화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장벽이 높다.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흔히 사이보그라고 부르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은 로봇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많다. 인체와의 결합, 생체신호 인지, 인체 친화적인 재료 등 로봇을 만들 때와는 ... ...
- [가상인터뷰] 단단한 소라 껍데기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안녕~! 나는 어과동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야. 지구정복을 위해 항상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역시 쉽지 않아. 지구정복은 잠깐 미뤄두고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기 위해 바닷가로 가야겠어!앗! 너는 단단한 껍데기를 자랑하는 소라? 소라의 단단한 껍데기를 이용해 갑옷을 만들면 엄청 튼튼한 갑옷을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06
- 추적추적 봄비가 오는 날 서울 강남에 있는 한 카페에서 수학자 서재홍 교수를 만났다. 서 교수의 전공은 암호! 암호를 연구하는 교수라니, 간단한 비밀번호조차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방법으로 쓰고 있지는 않을까? 궁금하다면 서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교수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암호를 연구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06
- “우주범선은 어디 있죠?”처음엔 당황했다.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에 등장하는 우주범선 ‘파피용’은 무려 14만4000명의 지구인을 태울 정도로 거대하다. 돛의 면적만 100만km2다(남한 면적의 10배). 이런 우주범선을 기대한 건 아니지만 지난 3월, 충남대에서 만난 우리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06
- 지난 3월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사건을 두고, 여러 반응이 쏟아졌다. 영화 ‘터미네이터’의 디스토피아를 떠올린 사람도 있고, 인공지능의 현재 수준이 아직 그 정돈 아니라며 놀란 마음을 달래준 전문가도 있었다.그 중 필자가 가장 흥미롭게 느낀 반응은 다음이다. “알파고는 이성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06
- 4월 22일은 윤정과 지호의 스무 번째 결혼기념일이었다. 파티까지는 아니더라도 근처 이탈리아 식당에서 온가족이 저녁 외식을 할 정도는 되는 날이었다. 하지만 지호는 21일에 술에 취한 채 술집 계단을 올라가다가 발을 삐끗해 뒤로 넘어졌고, 지금 엉덩이 뼈가 부러지고 왼쪽 정강이뼈에 금이 간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06
- ‘간지럼’, 가만히 생각해보면 정말 이상한 행동입니다. 만지는 건데 웃음이 나고, 웃음이 나다가도 조금 지나면 아프고 짜증이 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누가, 어떤 상황에서 간질이냐에 따라 웃음이 날지 화가 날지 다릅니다. 도대체 간지럼의 정체는 뭘까요.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딸이 아침부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06
- 한정된 먹잇감 가운데 무엇을 주식으로 삼느냐는 야생에서의 생과 사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이 선택에 따라 몸은 물론, 사회구조와 행동양식도 바뀐다. 야생의 생존게임에서 최종 승리한 원숭이들의 먹잇감 차별화 전략을 살펴보자.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당장 오늘 점심에 무엇을 먹을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06
-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가 있다. 이불 밖은 위험하고 숨 쉬는 것조차 귀찮다든가, 다음 생은 크림빵으로 태어나 따뜻한 오븐 안에서 야금야금 숨만 쉬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 심리학자들은 이렇게 손가락 하나 까딱할 수 없는 무기력함의 원인을 크게 에너지 고갈, 동기 부족, 자신감 부족, 통제감 부 ... ...
- BRIDGE. 일+취미수학동아 l201605
- 기자 생활 7년 동안 수학학회와 행사에서 수학자 다음으로 가장 많이 만난 사람을 꼽으라면 단연 김태연 소설가다. 그냥 소설가가 아니라 어려운 수학 연구를 대중에게 쉽게 소개하기 위해 글을 쓰는 수학 소설가다.“궁금한 수학 내용이 있어서 학회를 다니다 보니 이제는 웬만한 대학 수학과 교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