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조
골격
뼈
골
구성
조직
기구
d라이브러리
"
뼈대
"(으)로 총 20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05
또 그리스 신화의 영웅 50명이 탔다는 거대한 배를 기념해 만든 아르고(Argo)자리를 배의
뼈대
에 해당하는 용골자리, 꼬리부분인 고물자리, 나침판자리, 돛자리 4부분으로 나눴다. 라카유가 제정한 별자리는 모두 17개로 이 별자리들은 남반구 별자리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생각해 보면 다소 ... ...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04
제 역할을 다하며 과학의
뼈대
가 되어주는 탓이다. 다 지어진 집에 살면서도 튼튼한
뼈대
의 고마움을 알기란 쉽지 않다. 원래 소중한 것은 눈에 잘 안 보이는 법이다. 정보통신과 생명공학,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학문과 경계를 허물며 시너지효과를 내고 있는 수학은 이제 21세기의 필수품이다 ... ...
우주의 기원을 밝혀줄 암흑물질 지도
과학동아
l
200702
관심을 끄는 이유는 각 은하들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알 수 있는 우주 팽창 모형의 기본
뼈대
이기 때문이다.눈에 보이지도 않는 암흑물질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강력한 중력 때문에 주변 공간이 일그러지고 빛도 휘어지는 ‘중력렌즈효과’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약 50만개의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01
CDMA)의 이동전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다. 우리나라 통신 현대화의 큰
뼈대
는 모두 그의 손을 거쳤다고 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요즘 비보이(B-boy) 춤이 정말 멋져 보이죠? 어깨 탈골은 물론 인대나 연골 파열 같은 위험이 굉장히 큽니다. 그렇게 멋진 동작을 하기 위해 얼마나 고통스러운 ... ...
어린이 과학동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완성되면 만화에 맞게 이야기를 풀어 줘야 합니다. 본격적으로 만화를 그릴 수 있도록
뼈대
를 만드는 것이‘콘티’입니다.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만화들은 대부분 콘티 작업으로부터 탄생합니다. 쓱쓱 그린 것 같지만 얕볼 수 없는 작업 과정이지요 데생 ▶▶▶콘티가 완성되면 그 위에다 ... ...
콘크리트보다 강한 종이기둥
과학동아
l
200611
할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게루 반은 이전 프로젝트를 통해 발전을 거듭한 종이 기둥의
뼈대
를 사용했다.자재는 여러 기업에서 기부받았다. 160명이 넘는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종이 교회는 5주 만에 완공됐다. 그는 1997년 광주비엔날레에 자신이 가르치는 게이오대 학생들과 함께 만든 ‘고베 ... ...
마을숲은 한국형 생태도시
과학동아
l
200611
땅의 짜임새를 이용해 홍수와 바람을 다스리려고 만든 숲이다. 한반도는 백두대간을
뼈대
로 해서 뒷산이 높고 좌우로 산줄기가 뻗어 있는데다가 앞에는 들이 펼쳐지며 물길이 굽이친다. 마을숲은 이런 들판의 강풍과 물의 범람을 막아 마을을 지켜준다. 마을숲 중에는 ‘마을을 보호하는 숲’이란 ... ...
2. 디지털 솔저
과학동아
l
200610
LCE, Load Carrying Equipment)라는 것이 들어있는데, 이는 병사의 몸에 맞도록 유연성이 좋은
뼈대
를 전투복에 넣어 무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때에 따라 LCE는 장비를 넣는 배낭이 되기도 하고, 총탄 방호판을 넣으면 훌륭한 방탄복이 된다.ISN은 처음에 거북이 등껍질 모양의 LCE를 사용했다. 그런데 이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09
한다 폴리곤의 크기가 작을수록 3D 캐릭터는 사실성을 갖게 된다3D 캐릭터를 만들 때
뼈대
가 되는 부분 본을 바탕으로 폴리곤을 위에 붙이면 정교한 근육 움직임과 표정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물질 속에 있는 전자 하나를 밖으로 끌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의 일 또는 에너지 단위는 전자볼트(eV)를 ... ...
머리카락보다 작은 미로를 탐험한다
과학동아
l
200609
여기에 연결된 단백질을 낚고 있다.김 교수가 단백질 PSD-95를 신경세포에 넣자 액틴의
뼈대
를 형성하는 ‘섕크’(Shank)와 ‘IRSp53’이란 단백질이 걸려들었다. 섕크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면 필란-맥더미드 증후군이 생기는데, 이 증후군에 걸린 아이는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지능도 정상아이보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