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0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12
- 감성 래퍼 닥터심슨이다. 수학적인 사고가 삶의 밑천이라고 말하는 닥터심슨을 만나 보자.수학 천재 프로그래머라는 수식어가 부담스럽진 않나요?최근에는 음악에만 집중하고 있어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에요. 매일 공부해야 하는 학생도 아니고 음악가니까 이제는 수학, 과학을 좀 못해도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12
- 변화는 나중에 다룰 기회가 있겠지만, 윌슨이 범하는 논리적 오류를 이렇게 끄집어 내보자.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 이론을 제안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부속 가설들도 함께 제안했다. 고래가 곰으로부터 진화했으리라는 가설도 그 중 하나였다. 이 가설은 물론 기각됐다. 그렇다고 해서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12
- 랜덤박스의 시스템이 위와 같다고 가정하고 수학동아 독자답게 뽑기의 가치를 추정해보자. 가장 쉬운 방법이 기댓값이다. 기댓값은 확률에 가격을 각각 곱한 뒤 이들을 모두 더한 수치다. 이것을 계산하면 랜덤박스를 열 때 얼마를 기대할 수 있는지 나온다.아돌이 3000원을 내고 산 랜덤박스의 ...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수학동아 l201612
- 거의 똑같았다. 즉 사람의 뼈는 환경에 맞게 위상최적화됐다! 아래의 두 이미지를 비교해 보자.미래에는?장 교수의 연구 결과는 의료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점점 더 고령화 사회가 돼 가고 있고, 그에 따라 골다공증★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골다공증은 조기 진단이 ... ...
- [수학실험실] 자르고 접어서 대칭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12
- 한글 자음 속 대칭네모난 종이를 반으로 접어 한쪽에 여러 색의 물감을 묻힌 뒤, 반으로 접었다 펴면 재미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접힌 선을 기준으로 ... 작품컴퍼스를 이용해 도안을 그린 뒤, 오리고 접는 활동으로 대칭이 있는 작품을 만들어보자.준비물 : 양면 색종이, 연필, 칼, 컴퍼스,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12
-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그 날 점심에 어디서 무얼 먹었는지. 국가적 재난은 모든 국민에게 트라우마로 남는다. 재난이 발생한 뒤 진상규명이나 수습과정이 미온할 때 더욱 그렇다. 최근 몇 ... 궁극적으로 간결하고 우아한 법칙으로 해석하는 인간 정신의 놀라운 능력을 실컷 향유해보자 ...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수학동아 l201611
- 생각하세요?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속지 않기 위해서 노력하는 게 당연하지요. 어디 보자…. 옳지. 제가 뽑은 이 사연에 대한 답이 첫 번째 사연을 주신 청취자께도 도움이 될 것 같군요! 새 친구가 믿음직스러운 행동을 많이 보여줬기 때문에 그 아이에 대한 안 좋은 소문이 무척 당황스러울 거예요.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11
- 동축반전식을 선택했다. 만약 비행체 중앙에 딱 하나의 프로펠러가 있다고 상상해 보자. 이 프로펠러가 시계방향으로 돌면 그에 반작용으로 반시계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동축반전식은 위, 아래의 프로펠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며 이 힘을 상쇄시켜 비행체의 안정성을 높인다.마스2020 드론을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11
- 뛰어들게 해서 아이를 한 명 구하게 하는 희소한 유전자를 당신이 갖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물에 열 번 빠지면 한 번 꼴로 목숨을 잃는다고 가정한다. (…) 만약 그 아이가 당신의 자식이거나 형제자매라면, 아이도 그 유전자를 지닐 가능성은 반반이다. 따라서 어른이 한 명 죽을 때 아이를 통해 그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11
- 생기듯이 예측 불가능한 일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 연구에 이용된 한 연구를 보자. 실험참가자들에게 지극히 평범한 사진들을 보여줬다. 그런데 실험 중간에 갑자기 무서운 사진이 툭 튀어나온다. 사진은 무작위로 나오기 때문에 연구팀조차도 다음에 어떤 사진이 나올지 알 수 없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