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감도"(으)로 총 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12
- 꿈과 환상을 깨는 이야기지만, 실제로 보는 오로라는 사진만큼 화려하지 않다. 북극해에서 오로라를 직접 본 김봉욱 아라온호 선장은 당시 경험을 이렇게 표현했다.“눈으로 그냥 보면 구름인지,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인지 오로라인지 구분이 안갑니다. 카메라 화면으로 보니 그제서야 그 초록색이 ... ...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자연에 가장 잘 적응했다고 평가를 받는 곤충의 얼굴을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 어때요? 눈이 사람과 매우 다르죠? 곤충의 눈은 수많은 홑눈이 모인 겹눈이에요. 나비와 벌, 잠자리, 딱정벌레 같은 곤충은 홑눈이 수백에서 수만 개가 모인 겹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답니다. 곤충은 전 세계에 알려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11
- “한창 잘 나가다가 연구가 벽에 꽉 막힌 상황이었어요. 절벽 위에 서 있다는 느낌이 들었죠. 완전히 새로운 걸 해야겠다 싶어서 도전한 게 제올라이트로 메조다공성 물질을 만든 연구였어요. ‘사이언스’지에서 2011년 10대 성과로도 꼽혔는데 그걸 연구하다 정작 교수평가에서는 D를 받았죠. 어려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11
- 우리는 항상 길 찾기를 한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목적지까지 길을 잘 찾아가는 걸까. 길 찾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능력이 필요하다. 현재 내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고, 여러 경로 중 최선을 선택해야 한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뇌 속에 있는 지도와 GPS, 그리고 내비게이션을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0
- 스스로 판단해 화기를 발사하는 ‘킬러로봇’이 곧 현실화된다고 한다. 과연 이런 ‘터미네이터’는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재앙을 가져올까, 아니면 유명한 ‘로봇 3원칙’처럼 윤리적 시스템을 도입해 대비할 수 있는 걸까. 로봇윤리에 대한 논쟁은 일상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수많은 ‘봇(bot)’들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10
- 얼굴은 중요하다.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우리는 먼저 얼굴을 익힌다. 오랜만에 만난 사람은 안색을 살핀다. 요즘 사람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뼈만 남아 있는 인류의 조상을 이야기할 때도, 우리는 얼굴이 어떻 게 생겼는지 궁금해한다. 인간의 얼굴은 언제 어떻게 진화해 왔을까. 먼저 인간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10
- “그녀의 싸늘하게 높은 코, 단정하지 못한 입 언저리, 촉촉하게 젖은 눈, 그런 것 전부에서, 일순간, 나는 달빛 아래의 우이코 모습을 보았다.” _미시마 유키오, ‘금각사’ 중아름다움에 경도된 한 청년의 정신적 방황을 그린 일 본 소설 ‘금각사’의 한 장면이다. 주인공 남자는 친구가 유혹하려 ...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과학동아 l201409
- 도착처음엔 시시했던 우주공항2015년 9월 1일, 꿈에 그리던 우주여행을 가기 위해 미국 뉴멕시코주 사막에 위치한 ‘스페이스포트 아메리카’ 우주공항에 도착했다. 우주공항의 첫인상은 정말 시시했다. 인천국제공항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나로우주센터처럼 웅장한 발사타워도 없었고, 황량한 사 ...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과학동아 l201408
- 올해 타계한 콜롬비아의 소설가 가브리엘 마르케스의 대표작 ‘백 년 동안의 고독’에는, ‘노인의 방에서 물건이 혼자 돌아다니고 있다’는 내용의 문장이 나온다. 평론가들은 ‘남미 특유의 마술적 리얼리즘의 예’라고 추켜세우지만, 어쩌면 마술이 아닐 수 있다. 혹시제 손으로 물건을 옮겨놓 ...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08
- 그 사람은 왜 부유하고, 나는 왜 가난할까. 미국 월가에서 상위 1%를 겨냥한 ‘월가를 점령하라’라는 시위가 일어난 게 2년 전이다. 하지만 여전히 부는 ‘불평등’하다. 도대체 부의 불평등은 인류 역사에서 어떻게 시작된 걸까. 과연 우리는 평등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0뮤지컬 ‘맘마미아’에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