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돌
자갈
돌
석재
스톤
돌맹이
짱돌
d라이브러리
"
돌멩이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02
갈라파고스처럼 자연보호가 잘 이루어지는 곳은 드물 것이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돌멩이
하나, 풀 한 포기를 마음대로 훼손하지 못한다. 동물을 죽이거나 놀래는 것은 물론 허락되지 않는다.입국시 공항 세관원들은 소지품을 꼼꼼히 검사한다. 섬 안에 엉뚱한 생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
과학동아
l
199309
대부분 부드러운 흙(다공질매체)으로 돼 있으며 지하로 내려갈수록 여러 층과 더불어
돌멩이
썩은 층 그리고
돌멩이
(암석)층으로 돼 있다. 이런 상태로 된 지층에 지표수가 서서히 땅속으로 스며들어 물을 많이 그리고 잘 통과시킬 수 있는 지층이 만들어지면 그 물은 지하의 어떤 층보다 물을 빠르게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07
몽땅 바꿀 수 없다. 뜨거운 땅 위에
돌멩이
를 올려 놓는다고 해서 땅이 식으면서 그
돌멩이
가 위로 튀어 오르는 법은 없다.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화력발전소에 있는 증기터빈인데 이것은 효율이 40%만 되어도 상당히 양호한 편에 속하며 아무리 과학이 발달해도 열에너지를 100% ... ...
PC통신 공개자료실
과학동아
l
199307
돌도끼가 아이콘을 이용한다면
돌멩이
는 철저하게 풀 다운 메뉴체계를 이용해 운영된다.
돌멩이
의 시작 화면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PC Shell과 유사해 좌측에는 디렉토리가 트리 구조로 표시되고, 우측에는 선택된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 준다. 돌도끼와 마찬가지로 파일 복사 이동 삭제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04
달은 이글이글거려 매우 관측하기 힘들었다"라는 말을 많이 한다.마치 강바닥의
돌멩이
를 본것처럼···이것은 천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대기가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벗어나서 관측하기 전까지 우리는 대기라는 지구를 덮고있는 공기막을 통해 우주를 ... ...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10
사용돼 여러가지 물질을 분리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를테면 모래를 체로 쳐서
돌멩이
를 제거하듯이 크기가 다른 분자들을 나누는데 쓰인다.제올라이트의 구멍크기는 그 종류에 따라 다르고 또 그 안에 이미 들어 있는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적합한 종류를 먼저 선정해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10
된다. 원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양성자나 중성자를 축구장 크기로 가정한다면
돌멩이
크기를 갖는 3개의 주된 구성인자들이 존재하는데 우리는 이것들을 쿼크(quark)라고 부른다.현재로서는 쿼크 이하로 더 깊이 관찰하기에 충분히 강력한 입자가속기를 만들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지만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02
좋다.상상력이 풍부해지면 발명도 잘하고, 그림 그리고 글짓기하는 일도 잘할 수 있으니,
돌멩이
하나를 던져서 새를 세마리나 잡는 일석삼조가 아닌가?기존법칙에 과감히 도전하라발명이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미 주어진 법칙이나 여건에만 매달려 있다가는 새로운 창조를 ... ...
화산
과학동아
l
199109
오사카씨의 생각은 옳았다. 오래지 않아 후겐화산은 엄청난 위력으로 폭발하며 바위와
돌멩이
들을 무려 3마일 밖으로 내던졌다.대체로 화산으로 인한 피해는 '화쇄류'에 의한다. 화쇄류란 고열의 가스와 화산재가 산을 타고 내려오면서 사람들이 대피하기 전에 덮치는 것이다. 약 1백년전에도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04
어쩌면 폭발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그 조그만 덩어리를
돌멩이
로 두들겨 보았다. 안전했다. 그는 모래에 니트로글리세린을 흡수시키면 쉽게 폭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다이나마이트의 시작이었다. 그 뒤 연구를 거듭해 마침내 규조토라는 흡수성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