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콜드워
암투
d라이브러리
"
냉전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01
있던 미국과 소련의 두 의사 버나드 브러운과 게니 차조프였다. IPPNW는 미소간에
냉전
기류가 흐를 때도 서로간에 스리마일아일랜드원전사고(미)나 체르노빌핵참사(소)가 있을 때 공동으로 반핵운동을 펴나갔다. 우리의 경우도 당장 해방이후 일본에서 북한으로 돌아간 피폭자(5백여명으로 추산)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07
위한 최선의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대대적인 과학기술 진흥정책을 추진해 왔다. 특히
냉전
시대 이후 미국과의 자존심을 건 국력대결을 펼치면서 소련의 과학기술 진흥정책은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러시아어로 '위성'이란 뜻)의 발사로 결실을 보았다. 그 이후 소련은 '과학기술 대국 ... ...
「X선 레이저 빔」 기술적 난관에 부딪쳐
과학동아
l
199004
위축될 수밖에 없는 것이 X선 레이저 연구의 실상이다.기술적 연구의 퇴조와 함께,
냉전
종식이라는 국제사회의 데탕트 분위기로 더 이상 스타워즈란 불필요하다는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미국 행정부는 46억 6천만 달러의 방어용 미사일 계획예산(22%증액된 액수)을 요구했다. 요격 로켓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12
위험성을 강조하던 과학자들은 정말 자신들의 주장을 확신하고 있었는지 궁금하다. 동서
냉전
의 상징이던 베를린장벽이 무너진 지금 미완성인 채로 남아있는 평화의 댐은 두고두고 과학의 사회적 역할을 생각나게 할 것이다. 법의학의 위기"책상을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경찰 발표를 뒤엎고 ... ...
베링해협에 우정의 다리 놓아
과학동아
l
198908
땅으로 연결 되었었고 얼음으로 뒤덮힌 뒤에도 간간히 왕래가 있었다. 그러나 2차대전후
냉전
상태가 굳어지면서 이 지역은 살벌한 군사 경계지역으로 변해 각종 레이다등 첩보 시설들이 설치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이번 탐험대의 결성과 여행은 페레스트로이카의 바람이 몰고온 해빙의 일단으로 ... ...
PART1. 핵무기 배치와 핵전략 흔들리는「공포의 균형」
과학동아
l
198803
당겼다. 그후 근 40년에 걸쳐 미·소는
냉전
체제(60년대까지)와 데탕트(70년대) 그리고 신
냉전
체제(80년대)를 통해 '종말병기'를 양산했고 그럼으로써 초강대국의 자리를 굳히는데 성공했다. 이 과정을 지탱한 것은 핵억지전략이라는 신화이다. 즉 핵무기의 파괴적 위력이 전쟁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고 ... ...
민족운동으로 싹튼 과학 저널리즘
과학동아
l
198601
5개사에 16명을 헤아리게 되었다.우리나라의 과학저널리즘은 이렇듯 미소간의
냉전
을 계기로 활성화 된 것은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그 뒤 국내의 과학기술활동이 점차 활발해 지면서 우주경쟁이라는 외신 의존 일변도의 보도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보도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과학보도의 취재대상 ... ...
이전
8
9
10
11
1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