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침반"(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네가 지금 어디 있는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0212
- 사용했다. 북극성과 같이 움직임이 거의 없는 별을 이용해 위치를 계산하는 천체항법, 나침반 등을 이용해 위치를 계산하는 추측항법, 위치를 알고 있는 몇 곳으로부터 전송되는 전파를 이용해 현재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자신의 위치를 알아내는 전파 항법 등이 그것이다.LBS 시스템에서 위치를 ...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과학동아 l200212
- 돌아온 비둘기 형상에 비유하며 동쪽에 인접한 아르고자리(현재는 고물자리·돛자리·나침반자리·용골자리의 네 별자리로 분할)를 노아의 방주로 보는 사람도 있다북쪽 하늘의 허큘레스자리에 있는 태양향점(向點)과 정반대인 태양배점(背點)이 이 별자리에 있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 5h 40m, 적위 -3 ... ...
- 미 해군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과학동아 l200209
- 남쪽 지평선 가까이 보이는 별자리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천(南天)을 관측한 B A 굴드가 나침반자리를 제창, 1922년 국제천문연합회에서 채용되었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적위(赤緯) -28°이다용융(溶融)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 원자로에 사용하는 냉각재는 이산화탄소 · ...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과학동아 l200208
- 그래서 이들은 주로 이 시간을 이용한다. 말하자면 거미는 편광이라는 ‘바늘침이 없는 나침반’을 갖고 다니는 것이다.이같은 사실은 우연한 실수로부터 밝혀지기 시작했다. 마리 테커 박사의 실험실에 있는 한 대학원생이 그가 맡고 있는 학생들에게 깡충거미를 보여주고 싶었다. 그래서 ...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과학동아 l200208
- 않고 핵에서 약 1만km나 떨어진 지점에 있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그러므로 천왕성에서는 나침반만 믿고 항해했다간 길을 잃기 십상일 것이다.한편 보이저 2호는 천왕성에 접근하는 동안 10개의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다. 대부분 평범한 모양이었으나, 가장 가까운 위성 미란다의 표면에서는 놀라운 ...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과학동아 l200207
- 인쇄기술로, 평판 위에 잉크를 묻혀 나노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인쇄기술은 종이, 나침반, 화약과 함께 인류의 4대 발명품 중 하나다. 이 인쇄기술이 나노세계에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1993년 미국의 화학자 쿠메르와 화이트사이즈에 의해서다. 두 연구자는 알카네시올(alkanethiol)이라는 성분의 ...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과학동아 l200109
- 가리킬 것이라고 믿어서도 안된다는 사실을 밝혀둔다. 지구의 북극에는 S극이 있어 나침반의 N극이 북쪽을 가리키지만 다른 행성들의 경우는 꼭 그렇지 않다는 점에 조심하자.문제(3)의 정답은 ×다. 왜냐하면 동서남북 방향은 자전하는 천체의 표면에서만 정의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과학동아 l200106
- 훨씬 전부터 실제 센서라고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장치를 사용해 왔다. 예를 들어 나침반으로 방위를 알아냈고, 한란계를 만들어 온도를 측정했다. 현재는 센서라는 수단을 통해 인간이 보고 들을 수 없는 적외선, 자외선, 초음파, X선, 방사능 등을 감지할 수 있다.넓은 의미로 보면 작아서 그냥 볼 수 ... ...
- 폐수도 처리하고 전기도 얻고과학동아 l200105
- 대형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김박사는 이와 함께 슈와넬라가 몸 안에 있는 일종의 나침반으로 지구의 자기를 감지해 철이온을 찾는 것은 아닌지 알아보고 있다. 이를 위해 김박사는 접지를 한 미생물 연료전지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전기발생량을 비교·연구하고 있다.한편 KIST 연구팀에 있던 ...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과학동아 l200104
- 별자리가 생겨났다. 끝없이 펼쳐진 바다에서는 밤하늘의 별이 훌륭한 길잡이가 됐고 나침반, 돛, 시계, 망원경자리와 같이 배에서 쓰는 도구의 이름이 붙은 별자리가 많이 만들어졌다.20세기에 들어와서는 나라마다 서로 다른 별자리를 쓰면서 오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1930년 여러 나라의 천문학자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