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사
군사
군대
장병
병정
무인
육군
d라이브러리
"
군인
"(으)로 총 329건 검색되었습니다.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08
“하늘에 떠 있는 눈을 가질 수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통돌이는 큰 의미가 있습니다.
군인
은 전투에서 승리할 수도 있고, 산불을 미리 예방 할 수도 있지요. 인명구조 기능은 그런 ‘비행기능’에서 나온 선물일 뿐이지요.” 생기원 손웅희 로봇기술연구부장의 말이다.구조전문 소방부대 ‘중앙11 ... ...
한국판 ‘아이언맨 로봇’ 120kg 들고 9시간 활동
과학동아
l
201008
최초다.미국은 군사용 로봇이 강세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만들고 있는
군인
용 다리 로봇 ‘블릭스’는 일본의 ‘할’보다 월등히 힘이 세다. 블릭스의 자체 무게는 50kg 정도. 여기에 32kg의 짐을 싣고 80kg 정도의 성인 남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블릭스는 무게 200kg을 통제할 수 ... ...
군인
의 뇌에는 ‘사랑 호르몬’ 흐른다
과학동아
l
201007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6월 11일자에발표했다. 자기중심적 이타주의란
군인
처럼 집단(조국)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면서 다른 집단(타국)을 공격하려는 성향을 말한다.드류 박사는 “옥시토신은 전쟁을 수행하는 군대에서 필요한 집단 내 신뢰와 결속을 강화시킨다는 사실을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07
스트레스 관리가 군사작전 성공여부에 매우 중요함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부상을 입은
군인
들의 회복과정에서도 스트레스가 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임상적으로 알려져 있었다. 사실 197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스트레스 연구자의 3분의 1 이상이 미군 소속 연구소에 근무했다.개업의들 역시 진료에 ... ...
어느 6 · 25 참전
군인
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06
일대에서는 아직도 유해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다.세계적으로 전문부대를 창설해 실종된
군인
유해를 찾는 일을 벌이는 나라는 미국과 한국, 단 두 나라뿐이다. 미국은 2003년 국방부 내 나뉘어 있던 유해발굴 업무를 합쳐 미국 전쟁포로실종자확인사령부(JPAC)를 발족시키고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04
헤글룬트 교수는 아프리카 여성의 슈퍼 파워에 놀랐다. 짐을 나를 때 혹독한 훈련을 거친
군인
들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한 것이다. 이런 놀라운 능력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헤글룬트 교수가 이를 알아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처음에는 그들에게 특별한 유전자가 있거나, 목 근육이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03
아바타는 과연 얼마나 현실성이 있을까. 주인공 제이크 설리는 해병대 출신 퇴역
군인
으로 전투 중 다쳐 다리를 영영 못 쓰는 불구의 몸이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만난 어거스틴 박사의 도움을 받아 첨단 신경과학과 생명공학의 조합으로 만든 아바타를 통해 새 삶을 시작한다. 영화 속 현실에선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02
있다. 우리나라 역시 적정 혈액 재고량(7일분)의 20~30%에 머무르는 수준으로 그나마
군인
의 헌혈이 있기에 버티고 있다. “지금 배아줄기세포로 혈액(적혈구와 혈소판)을 대량 생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4년 세계 최초로 경기도 판교에 혈액을 만드는 공장을 가동시킬 계획입니다.” ... ...
바이아블랑카에서 다윈의 향기를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6
방문했던 바이아블랑카는 외부인에게는 상당히 위험한 곳이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군인
들은 *인디오를 무자비하게 토벌했고, 인디오의 습격을 막기 위해 요새를 지었다. 이 곳을 방문했던 다윈은 이 요새 안에서 숙식을 해결했다고 한다. 조사를 위해 야외를 마음껏 돌아다녀야 하는 다윈에게는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11
경우를 예로 들면 다른 사람과 지문이 똑같을 확률은 640억 분의 1로 매우 낮아. 하지만
군인
이나 노동자들은 지문이 닳아 없어져 지문을 인식하기 힘든 경우도 있어. 이를 보안한 방법이 홍채 인식 시스템과 손 혈관 인식 시스템이야. 홍채 인식 시스템은 사람의 눈에 있는 홍채에 형성되는 무늬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