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8,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하기 때문에 소독제로 주로 쓰여요. 윤제용 교수팀은 현재 석회질을 거르는 정수 필터도 개발 중이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Part 4.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데 성공했어요. 이 기술을 바탕으로 평범한 이미지를 추상화로 바꿔 주는 ‘딥드림’을 개발했지요.딥드림은 웹사이트(deepdreamgenerator.com)에 접속하면 누구나 체험할 수 있어요. 이때, 추상화로 바꾸고 싶은 이미지가 필요해요. 사용자가 이미지를 올리면 딥드림은 이걸 작게 쪼개요. 그 다음, 쪼갠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08
- 지난 6월 19일 0시,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원전)인 고리1호기가 영구정지(완전한 가동 중단)에 돌입했다. 1977년 6월 19일부터 가동됐으니, 만 40년만의 일이다. 이후 ... 재직 중이다. 원자력시설해체 및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방사선학적 특성평가 기술 개발 연구를 하고 있다 ... ...
- [Career] 제어시스템으로 완벽한 인공지능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708
- 안정성 역시 못지 않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현재 인공지능 분야는 개발에 치중돼 있지만, 산업에 적용하려면 인공지능이 올바른 결과 값을 도출하는지 이론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산업을 광범위하게 아우르는 산업공학워낙 다양한 분야의 산업이 있다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08
- 나타나지 않는 마커를 발굴해 미량의 시료에서도 어떤 조직인지를 알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조직 DNA 메틸화 패턴으로 체액 식별까지 가능해아쉽게도 현재 법의학 영역에서 내부 장기나 조직을 식별하는 연구에 DNA 메틸화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예는 없다. 그렇지만 조직 특이적 DNA 메틸화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돌아간단 말도 있어요. 이에 중국 과학자들은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하는 길다란 철사를 개발한 뒤, 용수철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하지만 중국인들이 말하는 용수철은 일자 모양의 탄성을 가진 철을 뜻해요. 우리가 용수철이라고 알고 있는 꼬불꼬불한 철은 ‘탄후앙’이라고 구별해 부르지요. ...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쓰이게 될 거야. 오락, 스포츠는 물론 우주도시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 알맞은 로봇으로 개발될 수 있거든. 또 어떤 거대로봇이 활약하게 될지 기대해 줘~.▼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Part 1. [거대로봇]이 나타났다!Part 2.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Part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07
- 외판원 문제를 생각해 냈고, 독일의 컴퓨터과학연구기관인 베를린 주세연구소에서 개발한 외판원 문제 해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그 결과 삽입체를 한 번 교체할 때마다 15분의 단축 효과를 가지고 왔고 호기당 2000만 원, 연간 1억 원의 비용을 줄일 수 있었지요. 수학자가 ... ...
- [Future]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과학동아 l201707
- “가격은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석유기반 원료와 동일하게 맞췄다”고 말했다.이번에 개발된 신발의 주 원료인 중국 타이후 호의 조류 중에는 독성을 내뿜는 마이크로시스티스와 같은 조류도 포함돼 있다(마이크로시스티스는 우리나라 4대강 녹조의 우점종이기도 하다). 또한 남조류가 내뱉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07
- MWC)’에서 SKT는 광통신 네트워크 기술을 가진 핀란드의 노키아와 공동개발한 단일광자 양자암호통신기술을 시연했다. 곽 랩장은 “SKT는 유럽의 상용제품보다 10배 빠른 초당 10킬로비트의 속도로 양자키를 만드는 기술이 있고, 노키아는 이렇게 생성한 양자암호키를 사용해 데이터를 고속으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