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뿔
풍
한질
유행성감기
유행성
물레 돌리기
cranking the reel
d라이브러리
"
감기
"(으)로 총 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09
편도선염이나 폐렴 같은 염증이 생겼을 때에만 항생제를 처방해야 한다”며 “단순한
감기
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낫는다”고 말했다.박테리아는 터져 죽는다? 항생제는 박테리아를 어떻게 죽일까. 항생제에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살균제와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하는 정균제, 살균과 정균 작용을 ... ...
무관심 속에 파고든 A형간염 주의보
과학동아
l
200808
간에 침투해 간세포를 파괴하는 질병이다. 보통 6세 이하의 어린이는 A형간염을
감기
처럼 앓고 지나간 다. 이와 함께 A형간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인‘anti-HAV IgG’가 생겨 수일 안에 자연면역된다. IgG가 A형간염 바이러스의 공격에 방패로 맞서기 때문에 다음에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돼도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
순간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단다!대한민국 우주인 출발 일정 ❶ 발사 3주 전 : 우주인은
감기
, 독감 등 질병을 막기 위해 외부와 접촉이 차단되고 의사가 허가한 음식만 먹을 수 있다. 우주인은 발사시기를 놓치거나 늦지 않기 위해 발사시설을 떠날 수 없다.❷ 발사 7시간 전 : 우주인 호텔에서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7
소음인의 이런 차이가 유전적으로 확인된다면 머지않아 약국에 가서 ‘태음인용
감기
약 주세요’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나올지도 모른다.분위기는 매우 희망적이다. 최근 연구팀이 비만 환자들의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비만에 관련된 유전자 마커들이 태음인과 소음인에서 서로 다르게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06
감기
바이러스가 가장 흔하다.
감기
바이러스는 100여종이 넘는데, 코 점막세포에 들어가
감기
를 일으킨다. 면역성이 떨어지는 질환을 앓거나 50세 이상 노인, 당뇨환자, 임산부 등은 매년 10월 이전에 독감예방접종을 하는 편이 좋다.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즉 HIV는 ‘인류의 적’으로 불린다.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06
평소 커피를 마실 때 감미로운 커피 향과 쓴맛을 명확히 나눠 느낄까. 흥미롭게도 우리는
감기
에 걸려 냄새를 잘 못 맡을 때 음식을 먹으며 “무슨 맛인지 모르겠다!”고 한탄한다. 모양과 소리를 연결한다?아래의 그림을 보자. 왼쪽은 곡선으로 그린 도형이고 오른쪽은 직선으로 그린 도형이다. 이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06
있다”고 말했다. 8 사람이 AI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생기나?▶고열이나 기침 동반한
감기
증상과 비슷해사람이 AI에 걸리면 38℃ 이상의 고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목숨을 잃는데 이는 세포를 죽이는 사이토카인 단백질(TNF-α)이 과다 분비되기 때문이다. ... ...
동계훈련 가는 선수는 장 속 박테리아 챙겨야
과학동아
l
200803
감기
나 콧물질환을 보이는 기간을 조사했다. 그 결과 단순영양제를 복용한 그룹은
감기
증상을 보인 기간이 평균 72일이었지만, 생균제를 복용한 그룹은 30일 정도에 그쳤다.혈액검사를 한 결과 생균제를 복용한 그룹에서 일반영양제를 복용한 그룹보다 면역 강화 물질인 인터페론 감마(γ)의 양이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멘토링“가재는 게 편인 것 알지? 힘들어도 파이팅!” “교수님 스쿠버다이빙하실 때
감기
조심하세요(^-^)” 멀리 떨어져 있어 자주 만날 수 없는 고 교수와 은주 양은 휴대전화 메시지와 e메일을 주고 받으며 마음을 전한다. 얼굴을 볼 수 있는 날이 1년에 한두 번이기에 그 만남이 더 소중하게 ... ...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02
뇌로 전달되는 색 정보가 적어 형태나 윤곽을 더 잘 간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흰목꼬리
감기
원숭이는 색맹이라는 ‘특수한’ 눈으로 보면 숨어있는 곤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는 뜻이다. 마치 영화의 주인공이 ‘돌멩이 렌즈’라는 특수렌즈로 세상을 보면 숨어있던 요정과 몬스터를 발견할 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