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d라이브러리
"
가시
"(으)로 총 87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
수학동아
l
201308
때도 의사소통용
가시
를 이용해 주변 친구들에게 위협을 알린다. 로랜드줄무늬텐렉은
가시
의 마찰음으로 소통하는 유일한 포유류다.사막달팽이의 시원한 방여름잠을 자는 동물로 사막달팽이도 빼 놓을 수 없다. 사막 달팽이는 뜨거운 건기 동안 잠을 자다가, 비가 오는 우기에 깨어나 활동한다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308
찾고, 15분을 지켜라손목에 찬 ‘다이브 컴퓨터’로 수심을 확인한다. 목표 수심 30m다.
가시
광선이 거의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요술봉처럼 라이트를 이리저리 비추면, 초록빛의 세상이 잠시 화려한 군무를 춘다. 엄청나게 커다란 바다거북 한 마리가 산호 틈에 엎드려 있다. 아마도 100살은 넘었을 ... ...
내 LTE만 느린 이유
과학동아
l
201308
담은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를 하나의 섬유로 동시에 보내는 기술이다. 적외선에서
가시
광선에 이르는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는 무선이동통신의 ‘광대역폭’에 비유해 볼 수 있다.만약 1Tbps로도 모자란다면 광섬유를 한 가닥 더 쓰면 된다. 이 교수는 “유선 통신 기술은 이미 정점에 이르렀으며, ... ...
[퍼즐탐정 썰렁홈즈]식물나라 나무의사, 꼬따고 쁘리뽀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7
‘똑똑, 똑똑.’아침부터 누군가가 썰렁홈즈 집에 노크를 했다. 눈을 비비고 일어나 문을 열어 보니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응? 아무도 없는데….”순 ... 바라네.”썰렁홈즈가 문을 열고 나가 보니 깜짝 놀랐다. 정말 조그만 나무 선물이었다. 오만
가시
선인장…. 이제 어떻게 밖에 나가지 ... ...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03
PLA가 가장 잘 반응하는 빛 영역이 자외선이었는데 실내 벽지는 자외선을 쬐기 여러워
가시
광선에서도 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친환경 벽지와 친환경 가구가 유해물질을 줄이는 데 만능은 아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유해물질 전부를 제거하지는 못해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 ...
오늘부터 나도 발명왕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3
한 번 진동하면서 가는 거리를 파장이라고 한다. 특히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인 ‘
가시
광선’은 380mm~780mm의 파장을 가진다. 빛의 파장이 380mm에 가까울수록 보라색, 780mm에 가까울수록 빨간색을 띤다. CD는 레이저로 자료를 기록하기 때문에 매우 가늘고 평행한 연속적인 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
과학동아
l
201302
글로벌호크는 지상으로 전파를 발사해 지표면 영상을 만드는 합성개구레이더(SAR)와
가시
광선과 적외선을 볼 수 있는 센서를 모두 쓸 수 있다. 최대 해상도는 지상에 있는 30cm 크기의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데 이런 해상도로 24시간 동안 7600km2를 촬영할 수 있다. 서울시의 10배가 넘는다.또 지상에서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
과학동아
l
201302
받았다.그러나 물질파를 이용해 시계를 만들기는 어려웠다. 물질파는 주파수가
가시
광선의 100억 배에 달할 정도로 진동이 빨라서 측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뮬러 교수는 2년 전 원자 간섭계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을 증명했던 실험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원자 간섭계는 원자의 ... ...
스타워즈의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302
영역으로 넘어간다. 반대로 평소에 보이지 않는 우주배경복사의 파장이 짧아지면서
가시
광선 영역으로 넘어온다. 이 우주배경복사가 희뿌연 구름으로 보이는 것이다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01
모든 파장의 빛(전자기파)을 흡수하는 물체를 ‘흑체’라고 한다. 상온에서 흑체는
가시
광선을 방출하지 않아 까맣게 보인다.이런 흑체가 열평형 상태에 도달하면 빛을 방출하는데 이를 흑체복사라 한다.특정한 파장에서 방출되는 빛 에너지의 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온도에 따라 바뀐다.그런데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