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뉴스
"
우리나라
"(으)로 총 3,65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 35%, 인공지능이 미래에 의사 대체 가능"
연합뉴스
l
2019.03.28
또 35.4%(237명)는 AI가 직업적으로 사람 의사를 대체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의사들이 아직은 의료 분야 AI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지만, 향후 AI의 의학적 이용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AI가 앞으로 의사의 업무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는지에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학술지 ‘플로스원’에는 사람도 크립토크롬을 통해 지구자기장을 감지함을 시사하는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행동실험 결과가 실렸다. 경북대 생물교육과 채권석 교수팀은 사람이 지구자기장을 느낀다면 뭔가 생존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했다. 영장류 ... ...
위암학회, '치료 가이드라인' 제정…4월 학술대회서 발표
연합뉴스
l
2019.03.26
2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위암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2019.3.25
우리나라
위암 치료 수준과 한국인에게 맞는 위암 치료법을 담은 가이드라인이 제정됐다. 대한위암학회는 25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위암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해 오는 4월 11∼13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릴 '2019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건너간 두 종으로 프랑스 육종가들이 만든 파인애플딸기(F. x ananassa)는 100여 년 전
우리나라
에 소개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네이처 유전학 학술지 ‘네이처 유전학’ 3월호에는 딸기의 고품질 게놈을 해독해 그 기원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미시간주립대를 비롯한 미국의 공동연구자들은 최신 ... ...
30년 후 붉은불개미 같은 외래종 침입 20배 늘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통해 지중해에서 건너온 ‘지중해 담치’다. 지중해 담치는 1950년대 유입된 이후
우리나라
고유 홍합인 ‘참담치’의 서식지를 점령했다. 연구팀은 해운 산업이 커지며 외래종의 유입이 얼마나 늘어날지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우선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기후변화를 ... ...
"반도체 빼면 ICT 수출, 5년 연속 내리막…5년간 20% 줄어"
연합뉴스
l
2019.03.18
수년간 축소된 ICT 산업 수출의 위기가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이는
우리나라
의 글로벌 제조경쟁력 하락과 제조기반 이탈을 보여주는 경고 신호"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과감한 규제개혁과 노동시장 경직성 개선, 기업활동을 촉진하는 조세 환경 정비 등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기 ... ...
복지부 '스마트의료'로 이름 바꿔 '원격의료' 허용 재추진
연합뉴스
l
2019.03.15
업무계획이 공개되자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전 세계에서 가장 의료 접근성이 좋은
우리나라
에서 원격진료를 추진한다는 것은 어불성설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협의회는 "정부가 원격진료를 강행하는 이유는 대면진료보다 낮은 원격진료 수가 책정으로 건강보험 지출을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화려한 색상의 날개를 펴고 접는 모습이 폰과 닮았기 때문일 것이다. 소재는 좋았지만
우리나라
에 사는 아름답고 화려한 고유종 나비를 사용하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참고 문헌 -P. J. Gullan and P. S. Cranston.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2005). Blackwell Publishing Ltd. -Herve′ Le Guyader. ... ...
한 세기 민족과 운명 함께 한 한반도 고유종 미선나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열렸다.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는 ‘미선나무 100년을 통해 본
우리나라
특산식물’을 주제로 한 학술 심포지엄이 열렸다. 심포지엄 전에는 김재현 산림청장과 이유미 국립수목원장, 국회 연구모임 '나무심는 사람들'의 박완주 대표위원을 비롯한 소속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02.28
표준 이름과 함께 형태적 특징, 학명과 그 의미, 유래 등이 담겨 있다. 이 책은 특히
우리나라
에서 최초로 분류학적 체계를 바탕으로 식물의 표준명을 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식물을 과별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해 학명과 함께 우리말 이름과 로마자 발음표기를 일본 이름과 함께 표기했다.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