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팀"(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V391 Peg은 폭발 전에 비해 질량은 2분의 1이고, 온도는 15배 이상 뜨거워진 상태였다. 연구팀은 이 사실을 바탕으로 V391 Peg 주변을 도는 행성들의 폭발 전 질량과 위치를 역으로 추적했다.추적 결과 중심별에서 1.0AU 거리에 있던, 목성의 3.2배 무게의 행성 V391 Peg b는 폭발 이후 중심별로부터 거리가 1.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사회자(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 | 3D 디스플레이(3D)사 국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02년 즈음, 흑백이던 휴대전화 화면이 총천연색으로 바뀌던 그날을 기억하십니까. 그 이후 우리의 디스플레이는 꾸준히 발전해왔지만, 혁명이라 불릴만한 발전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드디어 디스플레이의 혁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인공지능과 휴머노이드가 ‘대세’다. 김 교수는 “로봇 6대와 사람 5명이 한 팀을 이루는 경기를 구상하고 있다”며 “머지않은 미래에 가정과 사회에서 휴머노이드와 함께 협력하고 공생해야 할텐데, 로봇축구 대회가 그 시험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Knowledge] 외야 펜스의 담쟁이덩굴이 외야수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파크팩터’다. 여기서는 타자 파크팩터만 소개한다 투수 파크팩터는 팀 투수 지수 대신 팀 타격 지수를 사용한다. 타자 파크팩터도 1.00이 기준이다. 그렇다면 리글리 필드와 다저스타디움은 어떨까. 2014년 기준으로 리글리 필드와 다저스타디움의 타자 파크팩터는 각각 0.99와 0.98이다. 통계로는 두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를 기록했던 맥휴는 이듬해 154.2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 2.73을 기록하고 11승을 거둬 일약 팀의 중심 투수로 도약했다.트래캡도 비슷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비에서도 다이빙 캐치를 하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수비수보다 공이 떨어지는 지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해 안정적으로 공을 처리하는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보이지 않게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등을 정밀하게 검사했다. 이 연구원은 “당시 우리 팀은 독일 연구소에 가서 깎아내고 남은 조각들을 검사해 실리콘의 동위원소 비율이 균질한지 등을 연구했다”고 밝혔다.이렇게 해 서 나 온 새로운 아보가드로 숫자 는 6.02214129 × 1023개(잠정)다. 그동안 사용해온 ... ...
- RCS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함부로 잘못 누르면 자신도 모르는 새 PC나 스마트폰에 해킹용 RCS가 깔린다.특히 해킹팀에서 개발한 RCS 프로그램은 백신 프로그램에 잘 감지되지 않고 다양한 기기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신이 해킹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기 조차 힘든 것이다. 사전에 예방하는 방법은 ...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빨리 해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 군데서 에러가 나면 전체를 손봐야 하는 다른 팀의 시스템보다 편리하다. 모듈을 모두 가동하지 않아도 돼 시스템이 가벼워지고, 하나를 수리하는 동안 다른 모듈을 쓸 수 있는 장점도 있다.로봇 보호하는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는 조종사의 명령을 받아 로봇을 ...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기록이 득점과 0.9가 넘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국내는 어떨까. 팀 수가 1/3가량 적은 국내는 표본이 적어 연도별로 차이가 크지만 지난해 KBO 리그의 볼넷과 경기당 득점의 상관계수는 0.098이었다. 타석당 투구수도 득점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지난해 경기당 득점과 볼넷의 ...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매회 과제가 바뀐다. 1회 대회 과제는 ‘풍선 부풀리고 터트리기’였고, 총 393개 팀이 참가했다. 본선 참가자들은 교사 없이 학생들끼리 조를 짜 5시간 안에 임무를 성공해야 했다. 4회를 맞는 올해 과제는 ‘공간을 확장하라’이며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을 묘사해야 한다. 8월부터 예선 접수를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