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d라이브러리
"
치료
"(으)로 총 3,448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있는 생체 영상 기술이야말로 사람을 살리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병을 빨리 진단하고
치료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신 교수는 “공학의 매력이 바로 이런 것”이라면서 “공학자는 사람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해 사회를 더 낫게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신 교수가 공학자의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이 때문에 길항작용이 무너지면서 전립선 환자들이 소변을 못 보게 된다. 전립선
치료
에 맞춰 조절되던 교감신경이 슈도 에페드린에 의해 흥분되면서 방광 근육이 이완돼 소변을 내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갑상선 약 역시 교감신경 길항제로 코 감기약과 함께 먹으면 기능이 충돌한다.이렇게 약 ... ...
2012 바이오 희망나눔 프로그램 “난치병 정복하는 과학자 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처음 나왔을 때 전문가들조차 모든 감염성 질병을
치료
할 수 있을 거라고 믿었죠. 오래지 않아 동화 같은 믿음이었다는 게 밝혀졌답니다.”300명이 넘는 중·고교생 앞에 선 앤드류 파이어 스탠퍼드대 교수는 장난기어린 말로 강연을 시작했다. 한때 기적의 약으로 불렸던 페니실린. 그러나 세균이 ... ...
특명! 우리나라 인어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살아있는 고래를 연구할 기회가 많지 않답니다. 죽지 않은 상괭이를 발견해
치료
한 일도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고래연구소에서는 앞으로 누리와 마루가 자라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상괭이의 생리 생태를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지금까지 고래를 좋아하면서도 우리나라 돌고래 상괭이를 모르고 ... ...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때 35세 이하나 비흡연자에 비해 심근경색이 나타날 가능성이 120배 이상 높다. 또 호르몬
치료
를 받고 있거나 당뇨, 편두통, 심근경색 증상을 겪은 가족이 있는 사람도 상용피임약을 먹었을 경우 심근경색의 발병률이 높아진다.합성 프로게스테론도 장기 복용하면 인슐린 수치를 높여 당뇨병 발병을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많이 먹게 한다. 끝으로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당 과잉 섭취로 생긴 대사질환을
치료
하느라 의료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결국 이 모든 걸 고려하면 당도 술처럼 규제가 필요한 품목이라는 게 필자들의 주장이다.그 상징적인 조치로 당류 가운데 하나인 과당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두렵고, 어려운 친구들이라면 이 주문을 꼭 기억해 두세요. 상처를 가장 빠른 시간에
치료
할 수 있는 마법의 주문이거든요. 수학 공부의 순서와 방향을 지키며 공부하다 보면, 분명 잠시 잊었던 수학의 매력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또한 흥미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무조건 교과서 순서대로 공부를 ... ...
살 빼주는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붉은 부분이 갈색지방이다. 쥐에 BMP8B 단백질을 주입하자(아래) 붉은 색의 면적이 줄어들었다.] 살을 빼기는 참 어렵다. 적게 먹고 운동도 열심히 ... 위틀 박사는 “이번에 발견한 단백질은 오직 갈색지방의 활성도에만 작용해 체중 감소
치료
에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뽀뽀하듯 끄트머리만 살짝 닿았다 떨어질 뿐이다. Y염색체는 유전자 손상을 재조합으로
치료
할 기회를 잃어버린 것이다. 그래서 현재 Y염색체에 있는 유전자 중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유전자는 일부에 불과하다. 사람의 성염색체는 원래 한 쌍의 상동염색체였다가 2~3억 년 전에 갈라졌는데, 현재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리 뇌의 잘못된 연결이나 끊어진 연결을 재생시킬 수 있는 유전자
치료
나 줄기세포
치료
방법이 개발돼서 뇌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