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종"(으)로 총 1,827건 검색되었습니다.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려 한다.첨단 동의보감을 만든다정단장이 이끄는 사업단의 최종목표는 한마디로 말하면 ‘첨단 동의보감’을 만드는 일이다.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용식물의 작용에 대해 다양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했는데, 사업단에서는 이런 약용·특용식물에 ...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과학동아 l2001년 04호
- 규모에서 밝힘으로써 이들 질병을 조기에 진단·치료하는 기술과 신약을 개발하는 일을 최종목표로 삼고 있다.21세기 생명공학의 핵심이 될 인간게놈연구는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생노병사의 원인을 밝히며 질병문제해결, 수명연장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선진국의 인간게놈프로젝트 중간결과가 ...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응용 개발), 분자전자소자(분자를 이용한 소자 개발), 나노요소기술이며, 소과제와 최종 목표도 구체적으로 세분화돼 있다. 이번 사업은 3단계로 짜여져 있으며, 1단계와 2단계는 3년, 3단계는 4년 진행으로 예정돼 있다 ...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유전적 소양을 미리 밝혀 발병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길도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최종적인 목표는 탁월한 약효를 지닌 항암제의 개발이다.미국 브라질과 공동으로 암연구하기로한편 유향숙 박사(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 단장)는 최근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암연구소(NHGRI)를 방문, ...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경우 전체선발인원의 30%를 뽑는데, 2단계에서는 100% 심층면접구술고사만으로 학생을 최종 선발한다.심층면접을 도입하는 대학은 현재의 5분 내외에서 20-30분으로 면접시간을 늘리고 인성과 태도,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 전공수학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자연히 면접방법도 ...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비유할 수 있다. 우선 화학적으로 벽돌역할을 하는 나노분자를 만든 후, 이를 쌓아서 최종물질을 만든다.bottom-up 방식은 생체물질의 특징인 ‘자가조립’ 을 응용해서 나노물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생명을 이루는 물질은 스스로 원자와 분자를 질서있게 정렬시키고 배치시킬 수 있다.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주체가 정부든 벤처사든 크게 중요치 않을 수 있다는 의미다.당시 다국적팀과 셀레라는 최종 논문을 동시에 발표하기로 약속했다. 즉 셀레라는 사이언스에 논문을 보내기로 했으며, 다국적팀은 핵심 논문을 사이언스에, 그리고 더 축약된 논문들은 네이처에 보내기로 합의했다.학술지에 논문을 ...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음식은 하나의 상징 아닐까요. 등장인물들이 원하는 것은 일치하잖아요. 게임의 최종 단계로 가면 완전히 현실이 되는데, 그 때 가장 걸리는 것은 육체이고, 걸리는 육체를 표현해주는 것이 바로 남자의 먹는 모습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성환_ 감독이 어느 인터뷰에서 사람도 가족도 싫고 ... ...
- 노우드 핸슨의 발견의 유형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실험 결과들로부터 사실을 수집하고, 대상을 설명하는 이론이 제시돼 실험 대상이 최종적으로 이해된다. 즉 어떤 실험이나 사실과 이론이 실험자의 주관적 생각으로부터 독립적일 수 없다는 것이다.물리학자들은 실험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개념적 패턴(유형)에 짜 맞출 수 있기를 열망한다. ...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천재와 인재가 끊이지 않은 사고일지미르가 1986년 2월에 발사된 이후 15년의 우주체류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는 무려 1천4백여건이 넘는다. 이중에는 미르의 노후 ... 추락이 예상되는 곳은 호주에서 동쪽으로 1천5백-2천㎞ 떨어진 남태평양상의 지점이다. 최종 추락시 점은 3월초가 될 것이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