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d라이브러리
"
책임
"(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스위스의 과학자인 빅터 프랑켄슈타인에게는 엄청난 야망이 있었다. 바로 자신의 손으로 생명체를 창조하는 일! 오랜 연구 끝에 그는 시체의 조각들을 이어 붙여 키 244cm의 인형을 만들고 여기에 생명을 불어넣는다.영국 소설가 메리 셸리의 작품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과학자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넷,‘어린이과학동아’명예기자라고 생각하니 과학책도 더 열심히 읽게 되고 더
책임
감 있게 생활하게 됐어요. 그 외에도 학교 친구들이 제 기사가 나오면 아는 체를 해 주고‘어린이과학동아’를 더 친근하게 생각하는 것 같아서 뿌듯하고 행복했답니다.‘어린이과학동아’파이팅! 명예기자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100km로 가속하는 데 4.8초밖에 안 걸리는 스포츠카다.바이엘머티리얼사이언스사의 혁신
책임
자인 이안 패터슨 부회장은 “차무게가 1% 가벼워지면 연료가 0.7% 덜 든다”며 “자동차 부품에서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독일 화학회사 바스프에서 만든 플라스틱 ... ...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서다“세계는 지금 ‘뉴클리어 르네상스’(Nuclear Renaissance)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송
책임
연구원은 최근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을 이렇게 표현했다.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이 이어지면서 원자력발전에 대한 수요가 부쩍 늘었다는 설명이다.중국은 향후 15년간 20기의 ... ...
싱글족의 함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646명에 이르렀다. 이는 결혼한 사람의 급성심근경색 발병률보다 2~3배 더 높은 수치. 연구
책임
자인 키르스텐 니엘슨 박사는 “식사를 부실하게 하거나 콜레스테롤을 많이 섭취하는 싱글족의 식습관이 심장질환의 위험을 높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서울대병원 소화기내화 김상균 교수는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보여줬다. 경찰은 웃으면서 그를 훈방했다. 이렇듯 자투리 시간도 아끼고 연구에
책임
감을 느끼는 태도가 유전자 적중이라는 획기적인 기술 개발을 가능하게 한 것인지도 모른다.카페키 교수도 이에 못지않다. 그가 세 살 이던 1941년 파시즘에 반대하는 어머니가 게슈타포에 체포돼 독일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밀집해 있는 군락지 안은 햇빛이 제대로 들지 않을 정도로 울창했다.해양연구센터의
책임
자인 박흥식 박사는 “맹그로브 군락지는 우리나라의 갯벌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고 설명했다. 얽히고설킨 가근은 해양생물의 서식처이자 산란장이다. 수심이 얕고 물의 흐름도 느려 포식자들의 접근이 쉽지 ... ...
당신의 사랑 유형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사랑이 합쳐지면 아가페(Agape)적 사랑이 된다. 아가페적 사랑에 빠지면 상대방에 대한
책임
감 때문에 헌신을 당연한 의무라 여긴다. 아가페적 사랑에 빠진 사람에게는 고난도 두렵지 않다. 마치 순교도 불사하는 신자처럼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헌신을 한다고 해서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만드는데 합류했던 것. 이듬해에는 삼성, LG, 현대와 함께 16비트 CPU를 개발하는
책임
을 맡았다.CPU 칩을 제작할 때는 새벽 4시에 연구소에 출근해 보고서를 작성하다가 서울로 출장 가 밤샘작업을 했는데, 오가는 차안에서 새우잠을 잔 적이 많았다고 한다. 연구소 시절 너무 일에만 몰두한 나머지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메시지를 전달하고 지구사진도 찍는 실험이었다. 한국항공대 우주시스템연구실의
책임
자인 장영근 교수는 “러시아에서 엄청난 비용(150억원)을 추가로 요구해 우주인의 초소형위성 발사실험은 무산됐다”고 말했다. 현재 우주시스템연구실에서는 3kg짜리 초소형위성 ‘한누리 3호’를 개발하고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