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3750m 질주의 과학 활주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겁니다.”박종건 에어사이드토목팀 대리는 지난 6월 17일 새벽의 환호성을 떠올리면 지금도 가슴이 벅차다. 지상에 건설할 수 있는 가장 난이도가 높은 도로를 자신의 손으로 만들었다는 자부심 때문이다. 제4활주로는 인천국제공항이 13년만에 새로 개통한 활주로다. 포화 상태에 이른 인천공항 여객 ... ...
- [기획] 2021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등을 방제하는 살충제 말라티온을 사용했는데 바퀴벌레 제거에는 효과가 별로 없었다. 지금은 퇴역한 미 해군 소령 존 멀래넌은 농약에 주로 사용되던 살충제인 디클로르보스를 사용하는 게 더 효과적임을 증명했다. 남색 미 해군 모자를 쓰고 시상식에 나타난 멀래넌 소령은 “해군은 이 연구를 ... ...
- [이공계 잡터뷰] 화장품 연구 넘어 전략기획까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더 성장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R&D가 기업의 미래를 바라보고 지금보다 나은 기술과 제품을 만들기 위한 일이라면, 전략기획은 기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매출을 늘리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일이다. 이 본부장은 최근 해외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일에 ...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과학과, 커넥톰(뇌연결망지도)을 비롯해 앞으로 뇌 연구가 직면한 문제도 살펴본다. 뇌는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진 모든 물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존재다. 두툼한 책의 마지막 장에 닿으면 깨닫게 될 것이다. 여전히 우리는 뇌에 관해 밝혀야 할 게 많다는 사실을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6월 1일, 멸망까지 7분! ‘운명의 날 시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1991년에는 자정 17분 전으로, 운명의 날이 멀어졌고요.냉전은 끝났지만, 운명의 날 시계는 지금도 작동하고 있어요. 핵무기의 위험은 여전한 데다 기후변화가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했거든요. 2020년 1월 23일, 핵과학자회는 분침을 23시 58분 20초로, 시계가 만들어진 이후 자정과 가장 가깝게 당겼어요. ... ...
- [특집] 딱 하나 고르라면 바로 이것!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했어요.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성립한다는 걸 보여주는 방법, 즉 ‘증명법’은 지금까지 약 400가지가 알려졌지요. 그중에는 천재 과학자이자 미술가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국 제20대 대통령인 제임스 가필드, 우리나라의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의 방법도 있어요. 복잡하고 어려운 ... ...
- [화보] 현미경으로 찰칵! 가장 작은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보아야 예쁘다!”나태주 시인의 작품 속 유명한 구절입니다. 정말 자세히 보면 예쁠까요? 지금부터 펼쳐질 ‘2021 니콘 스몰 월드’ 수상작을 보며 확인해 보세요. ‘니콘 스몰 월드’는 세계적인 카메라 회사 니콘이 매년 열고 있는 현미경 사진 공모전입니다. 현미경을 통해 세상에서 가장 자세히 ... ...
- 접종 양극화 고통 장기화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위해선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상황을 데이터로 톺아보고 지금 시점에서 노력할 과제가 무엇인지 짚어봤다. 전 세계 47% 백신 접종…국가별 차이 커 백신 접종률은 전체 인구 중 백신을 맞은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얀센 백신을 제외하고는 ... ...
- [탐험대학] 빙하탐험대 극지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과거의 대기 성분, 기온, 바람 세기가 층층이 쌓여 있는 ‘지구의 일기장’과 같다”며 “지금까지 남극에서 채취한 빙하에서 뽑아낸 가장 오래된 정보는 80만 년 전의 것”이라고 말했다. 한 연구원은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예측하고, 현 상황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만약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수학 개념들이 도움이 많이 됐어요. 저는 앞으로 제 수학 역량을 총동원해서 공학계에서 지금까지 도입해 본 적 없는 새로운 방식으로 AI 모형 개발에 성공하고 싶어요. 수학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인 것 같아요! 가까이서도 멀리서도 수학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될 거예요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