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주의
응시
감시
관찰
묵시
각광
d라이브러리
"
주목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미국 메릴랜드대 백호정 교수가 발표한 ‘전방향초전도 중력파 검출기(SOGRO, 소그로)’가
주목
을 받았다. 석유나 광물자원탐사에 이용하던 구배측정기를 개선해 중력가속도와 중력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백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초전도 양자간섭계를 이용하면 중력파의 변화를 기록할 수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온실가스 같은 유해물질을 덜 배출하는 선박으로요. 이와 관련된 기술이 앞으로 더
주목
받을 겁니다. Q 조선해양산업에서는 어떤 자질이 필요한가.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듣고 상대방이 필요한 부분을 잘 잡아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선박이든 해양 플랜트든 정말 크잖아요. 구조물 자체의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먼저 분해돼요. 나뭇잎은 태양빛을 받고 전자를 만드는 생물 발전소인 셈이지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광합성 전기 수확 기술’은 이렇게 분해된 전자를 빼내서 전기 에너지로 사용하는 기술이에요.단국대학교 배성재 교수팀은 식물의 잎에서 직접 전자를 빼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나노미터 ... ...
[수학뉴스] 오징어처럼 자유자재로 위장할 수 있다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안쪽에 색깔을 만드는 색소체가 엉겨 있어 색이나 질감을 순식간에 바꿀 수 있다는 점에
주목
했습니다.그리고 전류에 반응하는 소재인 엘라스토머로 오징어의 색소체를 흉내 내는 인공 색소체를 만들었습니다. 엘라스토머는 외부 자극으로 순식간에 모양을 확 바꿀 수 있고,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다. 하지만 레버의 연구도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그들의 연구가 빛을 발한 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이었다.왜 하필 접시 모양일까?안테나는 성능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그중에서 잰스키가 만들고 싶었던 안테나는 접시 모양의 안테나다. 왜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르메트르가 1927년 ‘브뤼셀 과학 학술원 연보’에 발표한 프랑스어 논문은 학계의
주목
을 끌지 못했다. 그는 이후 조용히 사제로 살아갔다.조르주 르메트르는 우주론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지만, 그 업적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반면 허블은 당시 천문학계의 스타였고(Inside 참조)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바람에 내쉬의 최대 수학적 업적일 수도 있었던 이 결과는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극본을 쓴 실비아 나사르는 내쉬가 자신의 최고 업적이 묻히면서 큰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고 추측한다. 당시 내쉬가 이 업적을 인정받았다면 수학 분야의 최고상인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됐다. 이 연구 결과는 2008년 교육정보화연구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냈고 의
주목
을 받았다. 삶의 활력소가 된 캘리그래피김상미 선생님이 캘리그래피를 시작한 건 2011년이다. 경기도 우수교사로 뽑혀 서울대에서 1년 동안 수학 수업 관련 연구를 하고 논문지도를 받기로 했던 때다.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학자들이 적어도 ‘인간은 지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는데
주목
하고 “어떤 존재든 인간과 비슷한 지적 행위를 보여주면 지능을 가졌다고 인정해주자”며 튜링검사를 제안했다. 이때부터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을 만들려는 노력이 시작됐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인공지능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효율 25~26%를 바짝 추격하고 있죠. 염료감응형태양전지도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
할 만합니다. 염료감응형태양전지는 식물의 광합성과 원리가 비슷합니다. 아시다시피 식물의 세포에는 녹색을 띠는 엽록소라는 색소가 들어있는데, 이것이 태양광을 흡수해 식물이 광합성을 합니다.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