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과학자들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여러 모로 아버지와 다른 ‘삐딱한’ 아들이었다. 우선 공전 궤도가 이상했다. 해왕성의 적도면과 157°나 기울어져 있었다. 공전 궤도와는 130° 차이가 났다. 만약 누군가 공전면 위에서 내려다본다면 아버지(해왕성)와 아들(트리톤)이 서로 정반대 방향으로 돌고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무겁다. 나무를 똑바로 세울 수 없다면 남은 방법은 뿌리를 더 깊이 내리는 것뿐이다. 우선 건물이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지하로 400개의 콘크리트 말뚝을 박았다. 말뚝의 절반은 딱딱한 기반암까지 깊이 박았다.튀어나온 부분의 하중이 뿌리까지 전달되는 것도 중요했다. 그렇지 않으면 건물이 두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태양계 공간을 운동해 왔는지, 고향이 과연 어디였는지 알아내는 일은 쉽지 않다. 우리는 우선 진주유성체가 어떤 궤도 종족의 지구근접천체인지부터 밝혀내야 한다.지구근접천체는 궤도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나눈다. 아폴로, 아텐, 그리고 아모르다. 아폴로는 근일점(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구조라는 점에서 텐세그리티와 같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다른 점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우선 거미줄 구조는 압축재는 없이 인장재로만 이뤄져 있고, 또 텐세그리티에는 없는 고정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 고정점은 거미줄 구조의 가장자리에 있어 지지대 역할을 한다(그림❶).그렇다면 거미줄 모양의 ... ...
- 생활 속 고민거리, 통계로 풀어 보세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우리나라 야채 섭취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 포스터를 만들었다. 우선, 280명의 사람들에게 설문지를 받아 성별과 연령별 야채 섭취량을 조사했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42%가 3종류 이하의 매우 적은 야채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들이 남자보다 채소를 좋아하지만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예만 보더라도 위치 정보나 사생활 침해 등을 반대하는 목소리와, 편의와 공공의 이익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서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런 부분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빅데이터 세상을 맞은 우리들의 숙제다.미리 보는 별별 데이터 세상실시간 교통 정보도 빅데이터 분석으로T맵은 전국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문제 삼기보다는 왜 우리나라에서 유독 갑상샘암이 많이 생기는지 연구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Q.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갑상샘암 증가하지 않을까?→명확한 증거는 없어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사례를 보면 갑상샘암은 반경 200~600km 이내의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만 ... ...
- 에너지드림센터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디자인’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기술인 ‘패시브 디자인’으로 만들어졌어요.우선 액티브 디자인을 살펴보면 건물 옥상에 있는 태양전지판과 땅 속의 일정한 온도를 이용하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이 있어요.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만들고 지열을 이용해 건물의 냉난방을 하는 거죠. 또 ... ...
- 중단된 마라톤 기록, 수학으로 되찾는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하는 값과 비슷한 기존 기록 중에서 유추를 통해 예상 값을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우선 참가자가 마지막으로 지난 체크 포인트 기록을 2011년과 2012년의 완주자의 같은 거리의 기록과 비교해, 유사한 K개의 표본을 고른다. 그런 다음 기존 완주자들의 최종 기록을 ‘분산분석’으로 분석해 참가자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의 본질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광자) 꼴의 등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연산 *는 곱셈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왜일까?우선 입자의 덧셈은 이미 따로 정해져 있다. 양자역학에서는 입자 덧셈의 가능성을 ‘중첩 원리’라고 부른다. 이것은 서로 다른 입자를 더하는 것이 아니 라 입자 하나의 상태들을 더하는 것이다. 여기서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