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추리
짐작
어림
추측
추론
예보
d라이브러리
"
예측
"(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성공했다고 밝힌 것입니다.중력파는 191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예측
했습니다. 물 위에 떠 있던 배가 갑자기 움직이면 그 주위로 물결이 일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체가 가속하면 물결이 이는 것처럼 물체 주위의 시공간으로 일렁이며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수 있으므로 매우 다양한 난수로 이뤄진 수열이 생긴다.이같은 양자난수 기술은 정말
예측
이 불가능한 난수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러면 정보시대에 꼭 필요한 ‘완벽한 보안’을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안심할 수 있도록 귀중한 데이터와 개인 정보를 지켜주는 것은 바로 뭐가 나올지 불확실한 ... ...
[과학뉴스] 구름은 빙하를 녹이는 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태양 에너지를 가두기 때문이에요.리프지크 교수는 “지구 해수면 변화와 기후 변화를
예측
하기 위해선 구름이 가두는 열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전공으로 선택했다. “우주의 모든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안다면 우주의 미래를
예측
할 수 있다”는 라플라스의 악마처럼 뉴턴 역학은 만물의 이치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았고, 해밀턴역학은 만물이 철학적으로 움직인다는 인상을 줬다. 필자는 여기에 매료됐다. 그러나 이듬해 양자역학을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다양한 도로에서 주변차의 움직임을
예측
해야 하는 자율주행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레오니드 시갈박사는 과학기술전문사이트 ‘Phys.org’와의 인터뷰에서 “자율주행차가 주변 차와 버스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면 ... ...
Part1. 난수, 넌 누구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출판했다. 그 뒤부터 더 큰 규모의 난수표가 나오기 시작했다. 난수표가 클수록 더
예측
불가능한 난수를 만들 수 있었다. 1939년에는 영국 통계학자 모리스 캔달과 바빙튼 스미스가 10만 개의 수로 이뤄진 난수표를 만들었다. 티펫이 만들었던 난수표보다 두 배 많은 수로 이뤄진 표였다.난수표는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맞혔다. 우하라 박사는 겐토가 꾸준히 연습하면 이보다 더 복잡한 자연현상도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수리학 연구소에서는 겐토를 ‘라플라스의 악마’라 불렀다.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피에르 라플라스의 가설에서 따온 별명이다. 라플라스는 만약 이 세상에 있는 ... ...
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높은 동물로 실험할수록 사람이 같은 제품을 썼을 때 나타나는 증상을 최대한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지요.동물들 중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동물은 침팬지예요. 사람의 DNA 염기 결합이 98% 정도 같거든요. 또 고양이는 90%, 소는 80%, 쥐는 80%, 어류는 71%, 초파리는 60%의 유사도를 갖고 있답니다 ... ...
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아인슈타인이 1916년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
한 지 꼭 100년 만이었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
한 현상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숙제가 풀리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이 소식을 생중계했고, 전세계 언론은 대서특필했다. 이후 중파 검출 뉴스는 북한 핵실험과 개성공단 폐쇄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다릅니다. 브라운 교수팀은 행성의 위치가 아닌 궤도를
예측
했을 뿐입니다. 그것도 해왕성이나 명왕성보다 몇 배나 큰 궤도를요. 망원경으로 보고 일일이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브라운 교수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행성을 찾는 일에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