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대기압의 1경분의 1수준밖에 안 되는 초고진공 상태, 모든 것을 얼려버릴 듯한 영하 270℃ 안팎의 극저온. 바로 양자물질이 사는 극한 환경이다. 1차원과 2차원, 3차원 양자물질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성과를 낸 국내 연구팀 세 곳을 찾았다.4진법 컴퓨터의 열쇠로 떠오른 원자선“그냥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카멜레온 매력 지닌 프런클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프런클의 추측은 헝가리의 수학자 피터 프런클이 1979년 제기한 문제입니다. 지금은 프런클이 문제를 만들었다는 걸 많은 수학자가 알고 있지만, 한동안 누가 이 문제를 냈는지 몰랐습니다. 1987년 미국 수학자 피터 윙클러가 호주에서 발간되는 수학 잡지에 이 문제를 소개하면서 출처와 해답 말고는 ... ...
- 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노래한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안녕하세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여러분이 머리를 쥐어뜯으며 겨우 이해한 역설을 뛰어난 인공지능이 쉽게 이해하고 설명해낼 날이 올까봐 걱정이라고요? 걱정 마세요. 역설이 아무리 어려워도 좌절할 필요는 없답니다.Q 언제부터 역설이 연구되기 시작했나요?논리적으로 모순이 생기는 역설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두근두근 비밀 편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힌트 하나. 색의 비밀이 우리 눈 속에?우리 주변은 여러 가지 색으로 가득 차 있어요. 우리가 이렇게 여러 가지 색을 볼 수 있는 건 눈 안에 들어 있는 ‘원추세포’ 덕분이랍니다.원추세포는 눈 속에서 빛을 감지하는 세포예요. L 원추세포, M 원추세포, S 원추세포 세 종류로 이뤄져 있고, 각자 다른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이 희토류의 일종인 홀뮴 원자 한 개로 1비트를 안정적으로 읽고 쓰는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네이처’ 3월 9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홀뮴 원자 1개의 스핀을 조정하다연구팀은 홀뮴 원자 두 개가 가진 위위, 위아래, 아래위, 아래아래 등 네 가지 스핀을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편집자주 허재원의 영장류이야기는 이번 화를 마지막으로 연재를 종료합니다. 그 동안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 고맙습니다.지난 열한 차례의 연재를 통해 다양한 영장류가 각자 종 특유의 가족 체계와 사회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살펴봤다. 마지막 화에서 소개할 영장류의 사회 시스템은 그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왼쪽부터 최지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임평옥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이강택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교수.“미래 도시에서 생활하는 개인이나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식물 관리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첫 번째 목표입니다. 이후 사막이나 극지, 우주와 같은 극한환경에서도 쓸 수 있는 농장시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자물질의 등장으로 응집물질물리학 연구 패러다임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발견하고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예측하고 발견하는 일종의 ‘게임’처럼 변해가는 중이다. 2월 22일, 강원도 용평에서 열린 양자물질 심포지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두 명의 ‘헌터’를 만났다.◀Xi Dai 시 다이중국과학원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우산이끼의 몸은 ‘엽상체(葉狀體)’로 이루어져 있어요. 엽상체는 ‘잎 엽(葉)’, ‘형상 상(狀)’, ‘몸 체(體)’가 합쳐진 단어로 ‘잎의 형상을 한 몸통’을 말해요.‘잎 엽(葉)’은 ‘풀 초(艹)’ 머리와 ‘나뭇잎 엽(枼)’을 합한 한자예요. 식물의 잎을 뜻하는 한자에 ‘풀 초’자가 붙으면서 ... ...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뇌는 이것을 패턴으로 인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특정한 냄새 성분들을 감지하는 데 여러가지 수용체 조합이 활용되고, 이렇게 조합된 냄새 수용체들이 뇌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해 냄새 특성을 구분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개별적으로 맡으면 양파향이 나는 성분인데, 적절한 농도로 과일향과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