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대기권에 진입해 낙하산을 펼치고 속도를 줄이는 과정은 이전과 같다. 하지만 낙하산과
분리
된 뒤에는 MSL을 내장한 착륙선이 역분사로켓을 이용해 천천히 하강하고, 그 동안 MSL은 케이블에 매달려 지면에 접근한다. 마침내 MSL이 지면에 닿으면 착륙선은 MSL이 제대로 착륙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2초간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T-림프구가 있다.두 박사의 공동 연구팀은 환자의 림프절에서
분리
한 림프구 세포를 배양했다. 그 결과 놀랍게도 연구팀은 배양세포에서 *역전사효소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역전사효소활성은 레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만 관찰되는 현상이다. 이 결과는 면역결핍 ... ...
지구촌 강타한 멜라민 분유 파동 Q&A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시료를 잘게 부수어 용액에 녹인 뒤 액체가 흐르는 얇은 관에 넣어주면 시료 속 혼합물이
분리
된다. 액체를 따라 빨리 이동하는 분자도 있고 천천히 움직이는 종류도 있기 때문이다.일정한 길이의 관을 통과할 때 걸리는 시간은 분자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멜라민 표준시료를 써서 통과시간을 ... ...
기출·모의논술 분석이 합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성적이 우수한 지원자만 논술고사를 볼 수 있다.고려대 논술의 외형적인 특징은 3~4개로
분리
된 제시문(각 제시문은 더 작은 몇 개의 제시문으로 구성된다)에 각각 1~2개 정도의 논제로 이뤄진다. 과목에 따른 논제 안배가 이뤄지긴 했지만 연세대와 달리 고정적인 편은 아니다. 예를 들면 2008학년도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대학원생 한 명 없이 연구 보조원과 둘이서 다시마를 갖고 씨름한 끝에 1908년 그 물질을
분리
해내는 데 성공했다. 아미노산의 하나인 글루타민산의 염인 글루타민산나트륨(MonoSodium Glutamate, 이하 MSG)이 바로 그 주인공. 이케다 교수는 MSG의 맛을 우마미(旨味, 감칠맛)로 명명했다. 이듬해 이케다 교수는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정부기관에서 주민 대피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2) 면진 설계란 땅과 건물을
분리
시키고 건축물과 땅 사이에 진동 충격 완충장치인 볼 베어링이나 스프링, 방진고무 패드를 설치해 땅의 흔들림을 건물에 적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제진이란 적극적으로 지진에 맞대응하는 방법으로 지진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나타내면 이므로 v=10m/s이다. 2) 1)에서 구한 역학적 에너지의 크기는 5(J)이다. 용수철에서
분리
된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구간 AB에서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로 그 크기가 줄어들고 남은 에너지는 구간 BC에서 위치에너지로 전환된다. 식으로 나타내면 Ek-Wab=Ep이다. 따라서 마찰력의 크기는 0.2(N)이다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현미경 속에 보이는 ‘입맞춤’은 이런 모습일까. 지난 9월 20일 보건복지가족부, 충청북도, 충북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주최하고 교 ... 머리를 쭉 뻗어 어디론가 가고 있는 듯하다. 사람의 혈액에서 백혈구를
분리
해 절편으로 만들고 염색한 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 배율 5000배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끓는점 등 기본적인 성질이 같다. 그래서 분별 증류나 추출 같은 물리적 방법으로
분리
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약품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효소를 사용해 한쪽 방향의 물질만 남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생각해본다. 효소는 기질특이성이 있으므로 광학이성질체 중 한 방향에만 특이성을 갖기 때문이다.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광자에도 똑같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것이 이번 논문의 결과다. 광자 2개를
분리
한 뒤 광섬유로 18km 떨어진 마을에 각각 보냈다. 그런데 그 광자들이 목적지에 도착하자 즉시 서로의 (양자)상태를 인지했다. 광자 사이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전혀 없었다. 이 얘기는 각 광자의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