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래픽뉴스] 전 세계 나무종의 30%, 멸종위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국제 식물원 보존연맹(BGCI)이 9월 1일 발표한 ‘세계 나무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나무종(5만 8497종)의 30%가량인 1만 7510종이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는 멸종위기에 처한 포유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종을 합친 수의 2배 수준이다.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안상수는 홍익대 석사학위 논문으로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글꼴의 종류, 크기, 간격 등을 달리하며 독서 속도를 쟀다. 그 결과 바탕체가 돋움체보다 6.7% 빨리 읽혔다. 본문용 서체에 바탕체가 안성맞춤이라는 결론이었다. 하지만 1990년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주인 몸에 버젓이 나있는 털을 뽑아갑니다. 지난 7월 27일 국제학술지 ‘환경학’에 발표된 새의 털 도둑질 이야기입니다. 잠자는 라쿤의 터럭을 어이하리때는 햇볕이 따사롭던 지난해 5월. 피해자는 나무 위에서 곤히 잠든 라쿤 한 마리입니다. 범인인 박샛과 새 한 마리가 천천히 피해자에게 ... ...
- [특집] 온라인 수업을 메타버스에서 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어 학생들은 작품을 발표하려고 앞다퉈 손을 들었어요. 엄태건 담임 교사는 “평소엔 발표를 하기 싫어하는 학생들도 마인크래프트 활동은 자랑하고 싶어한다”며, “또, 직접 건축을 하면 자신의 미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고 말했어요. 메타버스, 미래의 교실이 될 수 있을까 ... ...
- [가상 인터뷰] 중생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가 25억 마리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최근 티라노사우루스가 멸종할 때까지 총 25억 마리가 살았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주목을 받고 있어. 이미 멸종한 공룡인데 어떻게 안 거야?4월 16일, 미국 UC버클리대학교 통합생물학과 찰스 마샬 교수 공동연구팀은 먼저 티라노사우루스가 백악기의 어느 한 시점에 몇 마리나 살고 ... ...
- [기획] 그것이 알고 싶다, 2022년 새로운 수학 교과서가 온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올해 초부터 2022년 10월에 발표할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지된 지 6년 만에 이뤄진 일이죠. 교과서 내용은 물론 수업 방식 등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달라질 수학 교과과정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 ...
- [기획] 수학 학습량을 보는 다른 시선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인 인공지능 시대에 맞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2021년 발표한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수학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에서는 미래 지향적인 수학 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그 핵심은 인공지능의 기초학습에 필요하다는 이유로 20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는 무한급수를 찾아 알고리듬에 적용해야 했던 이유입니다. 아래 식 ❷와 같이 1706년 발표된 존 마친 공식을 적용한 알고리듬을 사용하면 6개의 CPU를 병렬 연결해 1000만 번째 항까지 계산하는 데 약 5초가 걸렸으며, 소수점 아래 1만 8177번째 자리까지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 1915년 ... ...
- 글꼴에 둘러싸인 일상과학동아 l2021년 10호
- 985년 발표한 ‘안상수체’는 대표적인 탈네모꼴 글꼴이다. 네모꼴 글꼴은 모든 글자가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안에 담기도록 디자인하는데, 받침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모음의 종류에 따라 글자의 높이나 폭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사각형 안에 넣기 위해 모든 글자를 디자인해야 한다는 단점이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측정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i9268양자의 중첩상태를 관측하기 위해 넘어야 할 가장 큰 과제는 파동함수의 붕괴다. 시스템 내부에서 양자를 관측하면 상보성이 사라지고 단 하나의 성질만이 남기 때문이다. 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