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향고향이 등 동물에서 향료를 채집하는 일은 야생동물보호법으로 금지돼 있다. 그 대신 전문가들은 화학적으로 분자를 합성해 인공 향을 만들어 향수에 넣는다. 천연 향료에 들어 있는 냄새 분자를 모두 찾아내 100% 동일하게 합성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화학자들은 무스콘이나 시베톤 같은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있었다. 하지만 인공물에 의한 킬로그램 단위를 대신하기에 충분히 안정적이라는 데 최종 합의를 봤다. 플랑크 상수에 대해 전세계 기관의 합의가 이뤄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단위자문위원회는 이번에 논의한 플랑크 상수를 10월에 열린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런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실용서를 집필했다. 책에는 물리나 천문학적 지식을 나열하는 대신, ‘봉투 뒷면 계산’을 통해 숫자 어림하기, 그래프를 올바르게 읽고 활용하는 법, 확률을 계산하는 간단한 규칙, 통계의 거짓말에 속지 않는 방법,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혼동하지 않기 등 올바른 정보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정답의 몇 배 이내의 값을 알려주는 알고리듬을 찾는 겁니다. 적당히 좋은 답에 만족하는 대신 계산을 훨씬 빠르게 할 수 있다면 그게 더 이득일 수도 있으니까요. 현재 두 도시를 여행할 때 어느 방향으로 가더라도, 즉 서울에서 부산을 가나, 부산에서 서울을 가나 비용이 같다면 정답의 1.5배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셔틀타요의 버스는 여러 학원이 나눠쓴다. 학생들이 수업을 들을때 버스 운전사가 쉬는 대신 다른 학원의 학생을 태우러 가는 것이다. 두 학원이 하나의 셔틀 버스 비용만 부담하면 된다. 셔틀타요가 여러 학원의 일정을 통합해 관리해서 가능한 일이다. 아낀 돈은 안전을 강화하는 데 쓴다.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신체 장기를 대신하기 위해 동물의 장기나 과학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낸 장기를 ‘인공 장기’라고 해요. 병이나 사고로 우리 몸의 심장, 간, 신장 등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이를 인공 장기로 바꿀 수 있지요. 아직까지 신체 장기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인공 장기 연구는 계속 활발하게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역분화를 유도하는 해결 방법이 나왔습니다. 세포의 유전체에 유전자를 삽입하는 대신, RNA나 화학물질을 이용해 이미 분화된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드는 연구들도 발표됐습니다. 발달생물학과 재생생물학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야마나카 교수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학적 비법은 여기까지만 알려주도록 하지. 우리 비밀을 모두 알려줄 수 없으니까. 대신 우리 닌자에 대해 조금 더 알려줄게. 잘 알다시피 우리 닌자는 일본에서 시작됐어. 신비로운 모습 때문에 서양에서도 좋아하지. 만화나 영화에서 멋있게 나온 덕분이기도 하지만. 그런데 사실 우리 닌자는 ...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년 5월 ‘험온’의 베타버전을 서비스했다. 험온은 ‘컴온(come on)’에서 착안했다 ‘컴’ 대신에 콧노래를 부른다는 뜻의 ‘험(hum)’을 써서 이름을 지었다. 험온을 켜고 콧노래를 부르면 그 음을 곧바로 악보로 옮겨준다. 악보에는 음표와 박자뿐 아니라 장단까지 표시된다. 피아노, 발라드, R&B,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산다’는 말처럼 고기를 푸짐하게 먹은 날에도 왠지 밥이 빠지면 섭섭하다. ‘치맥’ 대신 치킨 옆에 고봉밥을 퍼 두고 ‘치밥’을 즐긴다는 사람도 있다.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그 맛, 혹시 밥에도 특별한 맛이 있는 것은 아닐까.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침에 든 효소인 아밀레이스가 탄수화물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