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교통사고 사망자 ‘0’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있는 적외선 센서들을 가리키며 “무인자동차 기술이 상용화되면 이런 센서들은 모두 차
내부
로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센서가 외부 환경을 감지해 띄운 모니터 영상도 직접 확인했다. 연구원들이 차량 근처에서 움직이자 모니터 속 하얀 점 또한 오차 없이 움직였다. 주변 사물을 정확하게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발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올해 8월에는 강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북극해
내부
의 얼음을 대서양쪽으로 내보내는바람이 많이 불었다. 이 때문에 여름철 해빙이 관측 사상 최소가 됐다. 8월 중순에 북극해에 탐사를 나갔던 극지연구소 연구원들은 올해는 예년에 비해 해빙이 많이 녹아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태양의 표면을 관측하면 쌀알이 모여 있는 것 같은 무늬를 볼 수 있다. 쌀알무늬는 태양
내부
의 대류 흐름 때문에 생긴다. 뜨거운 플라스마가 상승하는 곳이 중심이고, 플라스마가 식어서 가라앉는 부분이 가장자리다. 쌀알무늬 중에서 지름이 3만km 넘는 것을 초거대쌀알무늬라고 부른다.쌀알무늬의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나노세공이 매우 많아 표면적이 넓다. 질량 1g에 표면적이 200~700㎡에 달한다. 또 결정구조
내부
에 양이온이 들어 있어 구멍속으로 들어온 다른 양이온과 자유롭게 교환된다. 때문에 세공보다 작은 분자를 선택적으로 흡착·통과시키거나 이온 교환이 쉽게 일어난다. 제올라이트는 촉매뿐만 아니라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모든 영양소를 분해할 수 있는 분비샘의 총체라고 할 만큼 중요한 곳이다. 십이지장의
내부
에도 주름이 많이 있다. 안쪽 벽 3분의 1 지점에서 소화액을 분비한다. 이자에서 만들어진 중탄산염과 트립신, 라이페이스, 아밀레이스와 같은 소화효소들이다. 포유동물은 십이지장에서 철 흡수가 주로 ... ...
얇은 껍데기가 큰 힘을 견디는 비결은?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탁구공에서 건물의 돔에 이르기까지 자연이나 인공물에서는 종종
내부
를 막으로 둘러싼 껍데기와 같은 구조를 볼 수 있다. 이런 껍데기들은 얇고 가벼운데도 불구하고 큰 힘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미 60년 전, 구 형태의 껍데기가 외부의 힘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해 ... ...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황금비 캘리퍼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정오각형에서 각 꼭짓점의 대각선을 모두 그어 보자. 그러면 그림❸와 같이 정오각형
내부
에 별 모양이 생긴다. 이 별을 ‘펜타그램’이라고 한다. 라틴어로 다섯을 의미하는 ‘펜타(Penta)’와 도형을 뜻하는 ‘그램(gram)’이 합쳐진 단어다.정오각형 한 변의 길이를 a, 그리고 펜타그램의 가장 긴 한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교수는 2011년 베타-아드레날린성 수용체가 에피네프린 호르몬에 의해 활성화될 때, 세포
내부
로 신호를 보내는 순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노벨상 수상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는 계기였다. 이를 통해 그는 신약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길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왜 신약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NIST) 박사팀과 라인너 블라트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 교수팀은 극저온인 원자
내부
의 양자 상태를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하지만 아주 짧은 거리에서였다. 이후 2009년 크리토퍼 문로 교수가 이끄는 미국 메릴랜드대와 미시간대 연구팀은 1m 가량의 거리에서 90%의 성공확률로 이터븀(Yb) 이온을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목표였다.베스타의 역사를 통해 지구형 행성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이제
내부
만 들여다보면 행성이나 다를 바 없는 베스타를 소행성에서 최소한 왜 행성으로라도 승격시켜야 할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제천문연맹(IAU)이 베스타의 외모가 다소 찌그러졌지만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