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잉여
찌꺼기
여분
잔여
잔류
잔액
기타
d라이브러리
"
나머지
"(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모두를 합쳐 완전한 다리로 만들 수 있지. 때로는 비슷한 공룡의 골격과 비교해서
나머지
부분을 채워 넣기도 해.뼈대를 완성했다면 살을 붙여야겠지. 살을 이루는 근육은 썩어서 분해가 되기 때문에 화석으로 남은 경우는 없어. 대신 현재 살아 있는 동물의 근육을 통해 추정할 뿐이야. 생물별로 ... ...
집짓기 속에 숨겨진 기하학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모양의 네모난 땅을 만들어 보세요.기쁨 : 저는 긴 땅을 갖고 싶어요. 한쪽에 집을 짓고
나머지
는 정원으로 꾸밀래요.소망 : 저는 네모반듯한 게 좋아요. 집도 연못도 네모반듯하게 만들 거예요.사랑 : 네모난 연못? 네모난 물고기도 구해야겠네. 전 둘의 중간쯤 되는 네모로 할래요.선생님 : 좋아요.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보고 싶은 것도 이해는 가지만….이 곳은 금속이나 돌로 만들어진 ‘무기물’ 유물을 뺀
나머지
‘유기물’ 유물을 보존 처리하는 연구실이야. 아까 이야기한 것처럼 종이나 천, 나무로 된 유물이 모두 포함되지. 근데이 유물들은 단점이 있어. 바로 썩어 없어지거나 훼손되기 쉽다는 사실! 그래서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토막을 가지면 되고요, 셋(3)만큼 가지기로 한 아저씨는 한 마리만 가지면 되지요. 그럼
나머지
세 토막이 남지요?”“그렇지.”“이(2)만큼 가지기로 한 아저씨는 두 토막을, 그리고 일(1)만큼 가지기로 한 아저씨는 남은 한 토막을 가지면 맞아요.”지오를 지켜보던 구경꾼들 사이에서 감탄사가 터진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정상 단백질보다 훨씬 짧은 단백질이 만들어지면서 생체시계의 기능을 잃어버린 것이다.
나머지
두 변이의 경우는 단백질 크기는 같지만 중간에 아미노산이 하나씩 바뀌면서 그 효율이 바뀐 결과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pers는 정상 per보다 기능이 높아져 주기가 짧아졌고 perl은 정상 per보다 기능이 ... ...
심층면접과 과학캠프 중점 대비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평가하는 과학창의성전형이 실시된다. 정원의 30%는 자기주도학습전형을 통해 선발되고,
나머지
70%는 과학창의성전형을 통해 뽑힌다. 교과부는 2012학년도부터 자기주도학습전형 선발 인원을 정원의 50% 이상으로 확대해 궁극적으로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통합해나갈 계획임을 밝혔다.이때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훼손될 염려가 없는
나머지
부분은 아직 압해도에 묻혀 있단다. 공사가 더 진행되면
나머지
부분도 발굴을 시작할 예정이야. 목포자연사박물관으로 옮겨진 공룡알 화석은 둥지 지름이 270㎝에 10여 개의 알이 들어 있는 큰 화석이야. 이렇게 큰 화석을 어떻게 부서지지 않게 목포자연사박물관으로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페어링을 제외한 나로호의
나머지
부분은 1차 발사에서 제대로 작동했다”고 밝힌 바 있다.하지만 당시 나로호는 발사 216초(3분 36초)만에 페어링이 정상 분리되지 않아 그 뒤부터 비정상적인 비행을 했기 때문에 상단로켓이 이후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넣어갈 가방이나 봉지가 없었거든요. 그때 수학선생님께서 4조각의 사과로 장구 모양을,
나머지
4조각으로 병풍 모양을 만드셨어요. 그리고 장구와 병풍을 합쳐 정육면체를 만드셨죠. 정말 신기했어요. 덕분에 전 작품을 안전하게 가지고 갈 수 있었어요 ... ...
방정식은 어디에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변수 사이의 관계가 정해져 있고 3개 중 2개를 알고 있으므로 간단한 방정식을 이용해
나머지
1개의 값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인구 수와 인구밀도를 이용해 넓이를 알아 내는 것이다. 알지 못하는 변수, 즉 넓이를 미지수를 나타내는 기호인 x로 두면 다음과 같이 가장 간단한 형태의 방정식이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