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는 별이다.지극히 무덤덤한 상태였기 때문에 나는 잠시 동안 내게 집중된 카메라들을 보고 이야기의 맥락을 놓친 건가 싶었다. 그 즉시 로그 파일을 띄우고 되짚어 본 결과 생각하던 바가 밖으로 흘러나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나는 별이다.’로그 파일에는 분명 그런 내용이 기록되어 있었다.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나서 반갑습니다. 전 ‘Mr. 착시’입니다. 본명은 신경 쓰지 마시고, 전 예술가니까 Mr. 착시라고 불러주세요. 착시를 일으키는 작품을 보면 눈이 즐겁지만 직접 만드는 건 어렵다고요? 착시는 수학적인 예술이에요. 보는 사람의 시선을 따라 조금만 계산하면 생생한 착시를 만들 수 있지요. ...
- [과학뉴스]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위치 추적 기술은 위성을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로, 스마트폰의 지도 기능이나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에요. 또한 위치 추적 기술은 철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답니다.실제로 과학자들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후보 1 상상이 현실로! 호버보드첫 번째 후보는 바로 ‘호버보드’야. 바퀴 없이 공중에 붕 떠서 나는 스케이트보드를 호버보드라고 해. 호버보드는 30년 전에 만들어진 영화에서 처음 등장했어. 당시에는 상상 속의 기계였지만, 이젠 진짜 만들 수 있게 됐단다. 과학으로 날게 된 호버보드호버보드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핵무기로 2차 세계 대전을 끝낸 미국은 전쟁 후에는, 아이러니하게도 핵무기를 걱정하는 신세가 됐다. 이념으로 서방과 갈라선 구 소련과 중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두려워한 것이다. 당시 미국 정치인과 정보부가 고안해낸 해결책은 ‘기술적 장벽’이었다.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이 원체 어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오래전 어머니는 “애들은 커피 마시는 것 아니다”라며 겁을 주셨다. 임신을 계획 중인 친구는 태아에 문제가 생길까봐 걱정을 한다. 언론에서는 커피를 적당히 마시면 7년 더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이렇게 좋은 놈과 나쁜 놈 사이를 오락가락하는 커피, 마셔도 되는 걸까?때는 16세기. 아랍에서는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당시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2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으로 선정된 연구에 대해 알려주세요.현대 수학에서는 답을 찾기 전에 답이 모여 있는 모임을 먼저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많이 써요. 바로 답부터 찾는 게 어려우니까 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임, 즉 공간에 대해 먼저 연 ... ...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서울대학교 김대형 교수팀이 몸에 붙일 수 있는 기억 장치를 만들어 심박수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어요.연구팀은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해 기억 장치를 제작했어요. 금 나노 입자는 같은 면적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화학물질과 만나도 잘 고장 나지 않아 기억 장치를 만들기에 매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한국인의 밥상은 발효식품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대표적인 것이 김치, 그리고 각종 장류다. 한국의 장은 주로 메주를 이용해 만드는데 된장, 고추장, 그리고 간장을 생각하면 된다. 보통 간장의 맛은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폄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간장의 맛은 생각보다 훨씬 오묘하고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015년 12월 8일(현지시각) 미국항공우주국(NA SA)은 2015년 8월 개발된 최신형 양자컴퓨터 ‘디웨이브(D-Wave)2X’의 실물(사진)을 최초로 공개했다. NASA는 ‘특정 문제에 한해 디웨이브2X의 연산 속도가 일반 컴퓨터에 비해 1억 배 빠르다’는 내용의 논문 초고도 함께 발표했다(arXiv:1512.02206). 그러나 이것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