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찾겠다고 마음먹고, 메릴랜드대로 돌아와 중력파 검출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은 웨버는 1661Hz(헤르츠)에서 변형률이 10-16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공명 막대형 검출기 ‘웨버 바’를 만들고 중력파 관측에 들어갔다. 첫 실험에서 중력파 의심신호 10개를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폐쇄회로(CC)TV로 범인을 검거한 사례는 매년 대략 2000여 건(2014년 기준). 여기에는 마스크를 쓰고 있거나, 화질이 떨어져 영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도 포함돼 있다. CCTV의 기록을 증거로 만드는 이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기사에 나오는 사진은 실제 사건과 무관한 가상상황이다.[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찾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1950년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 만든 ‘스왁’이라는 초창기 디지털 컴퓨터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몸길이 11.5m, 무게는 최대 7톤에 달하며 초식공룡을 주로 잡아먹던 대형 포식자였지요. 국립문화재연구소 임종덕 박사를 비롯한 국제공동연구팀은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땅을 긁은 것 같은 흔적 화석을 50여 지점에서 발견했습니다. 긁힌 자국은 최대 지름이 약 2m로 거대했지요. 긁힌 자국 60여 개가 ...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약 1만 5000년 전 쯤 10여 종의 개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1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지요.미국 코넬대 유전학자인 애덤 보이코 박사 연구팀은 여러 대륙에 걸쳐 38개 나라에 살고 있는 개 161종 4676마리와, 품종을 알 수 없는 개 549마리를 연구했어요. 상염색체와 Y염색체,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멀리 나는 비행기를 꿈꾸며 종이비행기를 완성했어요. 그리고 완성된 종이비행기를 들고 국립부산과학관의 넓은 강의실로 이동해 두 명씩 짝을 지어 비행기를 날렸지요. 세게 던졌지만 바닥에 그대로 고꾸라친 비행기도 있었고, 밀듯이 세게 던지자 멀리까지 활공한 비행기도 있었어요.20개의 ...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겨울철, 앙상하게 드러난 나뭇가지에 새의 둥지 같은 덩어리가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이 덩어리가 선명한 초록색이나 붉은색, 노란색을 띠고 있다면 여러분은 나무에 붙어사는 또 다른 식물을 보고 있는 거예요. 그 정체는 바로 기생식물 ‘겨우살이’랍니다.나무가 없으면 살 수 없는 겨우살 ... ...
- [과학뉴스] 혈액을 타고 달리는 하트 단백질과학동아 l2016년 03호
- ․ 생명공학미국국립보건원(NIH)이 2월 1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혈액 속에 가장 풍부한 단백질인 혈청알부민의 모양이 하트와 흡사하다는 연구결과를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혈청알부민은 혈장 속에 있는 단백질로, 삼투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인간과 동물의 혈청알부민 구조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더욱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눈을 갖게된다. 라이고 프로젝트에 재정을 지원한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프랜스 코르도바 이사장은 기자회견을 시작하며 “이제 새로운 창문이 열렸다”고 말했다. 과연 중력으로 본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또 앞으로 어떤 놀라운 발견들이 쏟아져 나올까. 이제부터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재단법인으로 설립을 허가받았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국립, 공공 또는 상업 등의 어떠한 정자은행 체계도 없었다. 이에 박남철 부산대병원 비뇨기과 교수와 서주태 단국대 의대 비뇨기과 교수는 지난해 한국공공정자은행 설립추진위원회를 설립하고 준비작업을 거쳐 각계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