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조"(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빛내리|인간이 풀지 못한 세포의 비밀 프런티어 과학자가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하는 ‘드로셔(DROSHA)’ 단백질을 발견했다. 10년 뒤인 2016년에는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까지 처음으로 밝혔다. 마이크로RNA 연구를 20년 가까이 선도해온 공로로 최근에는 ‘네이처’가 선정한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10인’에도 뽑혔다. 2012년부터는 국내 최대 기초과학 연구기관인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자 박화영의 죽음을 아는가. 박화영은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장래가 촉망되던 젊은 조선인 과학자였다. 하 ...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황우석 신화와 대한민국 과학’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등이 있다. rootkgb@jbnu.ac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2.8m 원통형 데이터센터 나틱 프로젝트의 데이터센터는 길이 12.2m, 지름 2.8m의 원통형 구조다. 내부에는 12개의 랙(rack)에 864대의 서버, 27.6PB(페타바이트·1PB는 100만GB) 용량의 스토리지, 냉각 시스템 등이 탑재됐다. 실험 단계라 큰 규모는 아니지만, 500만 편의 영화를 저장할 수 있는 정도의 용량이다.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교수는 “현재 이 구조물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며 “사람의 근육을 대신하는 기본 구조물 제작 등 의료용 연구에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 기술을 계속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통신 설계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뤄진 뒤 이들을 합쳐놓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논리 구조대로 움직이는 사이버 세계와 역학적 방식으로 움직이는 물리 세계를 통합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10년 전 미국에서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Cyber-Physical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한다. 각 기선은 그 길이에 해당하는 분해능을 가지고, 관측하는 천체에 그만한 크기의 구조가 있는지 확인하는 일종의 체(필터) 역할을 한다. 지구 곳곳에 위치한 망원경을 연결하면 다양한 길이의 기선을 얻게 되므로 천체로부터 오는 빛을 촘촘한 정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체로 걸러서 천체가 ... ...
- Part 2. 플라스틱 쓰레기의 피해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물범은 질식사할 위기에 놓여 있었죠. 폴 마크로는 보호단체에 구조를 요청했지만 결국 구조에는 실패했답니다. 이와 비슷한 고통을 받는 물개가 2018년에 영국의 노퍽 지역에서만 여섯 마리나 발견되었지요. 지구 곳곳에서 플라스틱으로 고통 받고 있는 동물들이 얼마나 다양하고 많을지 걱정되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평범한 소재이지만,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수준에서 반복되는 구조를 디자인해서 새로운 특성을 얻지요. 연구팀이 만든 메타물질에 빛을 입사각이 45°가 되도록 쏘아주면 빛이 들어온 방향으로 다시 반사돼요. 하지만 반대쪽 45°에서 쏘면 빛이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죠. 즉,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경우도 마찬가지다. 스테로이드를 외부에서 공급하면 우리 몸은 이를 유사한 화학구조식을 가진 여성호르몬으로 착각하고, 더 이상 만들어내지 않는다. 그 결과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고, 임신이 어려워진다. 또한 체내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높아져 성대가 커지고, 유방의 크기가 작아지며,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굉장히 까다로워진다”며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구조적으로 미래 디스플레이에는 더 어울릴 것”이라고 말했다.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센서가 자리 잡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대면적화다. 지금은 화면의 제한된 영역에서만 작동한다. 하지만 광학필름 방식,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