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1,70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03
지극히 간단하다. 인양된 목재를 수조에 넣은 뒤 주기적으로 깨끗한 물로 갈아주면 된다.
다만
청수에 포함된 미지의 미생물이 목재에 새로운 타격을 가할 수도 있으므로 약간의 방부제를 물에 타 줘야 한다.신안선의 판재들은 지난 84년부터 탈염처리과정을 거치고 있다. 아직도 이 과정은 지속되고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02
'하지성'으로 불렸을 것이다.천구상에는 어디에나 우리 은하의 별로 가득차 있다.
다만
태양 주위의 별들은 지구에서 볼때 밝은 낮에 뜨게 돼 볼 수 없을 뿐이다. 따라서 하지점 C′주위의 별들은 겨울철의 별자리들을 이룬다. 즉 하지 때 이 별들은 태양 주위에 있어 밤에는 져버린다는 의미와도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02
종류의 암이나 특히 암의 말기때에도 효과가 있는 '만능약'을 개발하자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암종류에 따라 보다 효과가 있는 것을 한단계씩 높여 개발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암과 관련된 기초연구가 어느정도 진전돼 새로운 개념의 암치료제가 개발되려면 2030년은 돼야 할 것이다.이미 ... ...
큰 글씨도 매끄럽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199202
작은 현수막에 쓰이는 큰 글씨도 레이저프린터로 찍은 것처럼 깨끗하게 표현된다.
다만
기존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파일을 불러내 인쇄하지는 못하고 프로그램 내부에서 인쇄할 내용을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긴 문서를 출력하는데는 적당하지 않다. 벽보나 포스터, 메모판이 있는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2
이름 붙여진 별자리기 때문에 신화 속에서도 독자적인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다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지만 1세기경 로마의 천문학자이자 시인이었던 히기누스(Higinus)는 이 개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매라(Maera)로 보았다. 매라는 살해된 주인 이카리우스(Icarius)의 시체를 찾아내 주인의 ... ...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01
성능이 우수하고 경제적이어서 매우 적합하다는 데 이의를 다는 사람은 없다.
다만
화면이 커짐에 따라 부피와 중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가격면에서도 경제성을 잃어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즉 HDTV는 대형화면이 필수적인데 브라운관을 사용했을 경우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고 무게도 ... ...
합금을 먹고 달리는 수소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01
물이므로 자연의 순환사이클을 교란시키지 않는 점 등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공기를 산화제로 사용했을 때 약간의 질소산화물(NOx)이 배출되나 이는 희박연소기술 촉매 등을 활용하면 충분히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역화와 조기점화가 문제게다가 청정연료인 수소의 가격이 현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01
따라서 '바다수프'라고 불릴 수도 있는 것이다. 바다는 오늘날까지도 수프와 같은데
다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태초의 바다 수프속엔 생물이란 없었으며 그 국물은 더욱 진했다. 바로 이 바다 수프로부터 원시형태의 생명체들이 처음으로 등장했던 것이다.생명의 근원을 이렇게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12
자동차산업의 규모나 연구인력면으로나 미국 일본 독일 다음으로 우리나라를 꼽는다.
다만
정부의 무계획성과 기업들의 오만함으로 80년대에 몇번의 기회를 놓쳤을 뿐이다. 최근 진전을 보이고 있는 한소관계를 잘 활용해 그들의 첨단기술을 익힐 수 있다면 지금도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12
명왕성 바깥을 돌고 있는 새로운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말한다.
다만
존재한다고해도 대단히 작고 어두울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태양계내에 지름 1백km 정도의 천체는 1천개 정도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생명 탄생의 수수께끼생명은 어디에서 탄생했는가. 약34억년전, 지구가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