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스페셜
"
동물
"(으)로 총 1,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미오글로빈 단백질의 구조를 추정한 결과 잠수력이 뛰어난
동물
일수록 단백질의 표면 전하값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돼지나 사람의 경우 미오글로빈의 표면 전하가 +1이 채 안 되는 반면 고래나 물개류는 +4가 넘는다는 것. 미오글로빈은 아미노산 153개로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메트포르민은 미 국립암연구소가 검토했던 열여섯 개 약물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여러
동물
실험에서 수명연장효과가 관찰됐다. 바질라이 교수가 라파마이신 대힌 메트포르민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허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었다. 즉 라파마이신은 사람에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
IBS
l
2015.11.18
잔병을 치르다가 정상 수명의 반도 안 되는 6년 7개월 만에 죽었다. 이후 탄생한 복제
동물
쥐, 개 등도 정상 수명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삶을 살았다.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에 더해 윤리문제까지 복잡한 복제인간을 대체해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연구 방안은 없을까? 김 연구위원은 그 ... ...
독감은 ‘독한 감기’가 아니다?
KISTI
l
2015.11.17
맞아야 하는 이유도 이 겉껍질 부분이 변이되기 때문이다. 겉껍질이 변이되는 과정은
동물
에게 감염됐다가 사람에게 전파되는 과정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일어난다. 이렇게 겉껍질이 변이된 경우, 변이된 바이러스에 대한 모양이 인식되지 않은 예방접종을 하면 면역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놀라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멀쩡한 털을 뽑을 경우 더 무성하게 털이 난다는 게
동물
실험으로 입증된 것.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쳉밍 추옹 교수팀은 생쥐의 털을 뽑았을 때 재생되는 과정을 연구했다. 먼저 털을 드문드문, 즉 지름이 2.4밀리미터인 영역에서 50개 미만을 뽑았다. 그 결과 생쥐의 ... ...
비아그라 출생의 비밀
KISTI
l
2015.11.15
상당히 운이 좋은 사례로 통한다. 이미 같은 성분을 가지고 ‘협심증 치료제’로서
동물
실험과 임상 첫 단계 시험을 마친 상태였기 때문에 아무래도 실험 속도가 빨랐다. 신약개발의 경제성 측면에서 ‘이보다 좋을 수는 없다’고 평할 정도다. 한편 고혈압치료제의 일종인 미녹시딜도 ... ...
섬 모양을 통해 새로운 상상력 발현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하면서 비슷한
동물
이나 다양한 물건을 대입했다. 어느 섬은
동물
과 비슷하고, 어느 섬은 사물과 비슷하고, 또 다른 섬은 미술 작품과 연관을 할 수 있었다. 그렇게 매칭된 것이 3년 동안 100여 가지에 달했다. 일단 찾아낸 섬은 출력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렸다. “이 ... ...
태평양 한가운데 삶의 현장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동물
플랑크톤의 먹이다. 체험단원들은 현미경을 한참 들여다보며 다양한 형태의
동물
플랑크톤을 하나하나 따라 그렸다. 바다를 아끼고 지키는 사람들이 이곳에 있다 최 연구원은 “태평양 바다를 연구하고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있다는 사실이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다”며 “그래야 ... ...
국제 해양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훈련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성장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독특한 해양환경을 형성한다. 이러한 환경덕에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어 국내 해양
동물
의 51%가 발견된다.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는 제주권역 바다의 특성을 이용해 해양생물을 ‘해양바이오 연구개발 활성화’ 및 ‘산업화 촉진’을 통해 국가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견인하고자 ... ...
“10년이 넘는 기간의 자료를 집대성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중요한 의의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부산과 제주지역에서 출현하는 어류와 저서무척추
동물
의 연구 자료를 모두 검토해서 정리했다는 데 있습니다. 이렇게 특정지역에서 출현하는 해양생물의 방대한 자료를 집대성한 도감은 그간 국내에 없었어요. 해양저서생태계 전문 유옥환 박사 많은 공을 들여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