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5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6.10.30
오리엔탈의 생성 과정을 규명한 이번 연구 성과는, 달뿐만 아니라 지구와 화성 등 태양계
행성
표면에 있는 거대 크레이터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며 “태양계 생성과 진화에 관한 새로운 비밀을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NASA vs 스페이스X “화성 땅 첫 발자국은 우리가 먼저”
2016.10.28
기술 혁신을 통한 비용 절감을 최대 기치로 내걸고 있다. 스페이스X가 개발 중인 ‘
행성
간 이동 시스템(ITS)’ 로켓의 핵심은 최근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로켓 재사용’ 기술이다. ITS 로켓은 지구 궤도에서 1단 로켓과 2단 로켓이 분리된 뒤 1단 로켓만 지구로 되돌아오고 2단 로켓은 우주에서 ... ...
시민 1만 명, 집단지성의 힘… 화성서 새 탐사 지점 찾았다
2016.10.24
HiRISE)’를 이용해 새롭게 찾아낸 스파이더를 정밀 분석할 계획이다. 캔디스 한센 미국
행성
과학연구소 HiRISE 총괄책임자는 “시민의 도움이 없었다면 스파이더를 찾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스파이더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 ...
과학자들은 ‘눈’이 아니라 ‘귀’로 본다?
2016.10.21
NASA)은 최초의 장거리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가 수집한 우주전파를 분석해 태양계 각
행성
들이 내는 소리를 공개하기도 했다. 이런 ‘별의 소리’는 실제로 작곡을 할 때 쓰이기도 한다. 미국의 록 그룹 ‘에코 무브먼트’는 NASA가 운영 중인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 발견한 두 개의 별 ... ...
첫 우주 독립국가 ‘아스가르디아’ 생기나
2016.10.21
- 항공우주국제연구센터 제공 올 8월 개봉한 과학영화 ‘스타트렉 비욘드’에는 인공
행성
‘요크타운’의 모습이 그려진다. 인공 중력은 물론이고 지구와 흡사한 주변 환경을 갖춘 독립국가로 묘사된다. 최근 이 같은 ‘우주 국가’를 실제로 세우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민간 ... ...
웜홀로 떠나는 수중 생태계 탐험! 아쿠아플라넷63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15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어요. 여러분도 수중 생물들이 가득한
행성
으로 여행을 떠나고 싶나요? 그렇다면 아쿠아플라넷63의 웜홀 속으로 빠져 보세요 ... ...
화성행 편도 우주선 티킷을 수억 원에 구매할 사람은 누구?
2016.10.09
왜 화성에 갈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은 찾을 수가 없었다. 일론 머스크가 인류를
행성
간 여행을 할 수 있는(Interplanetary)는 종으로 만들겠다는 사명 하에 이러한 원대한 계획을 만들고 실행하려 하는 점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영화 ‘마션’에서 화성에 홀로 남겨진 마크 와트니(맷 데이먼)처럼 ... ...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10.03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만들어 버릴 정도로 광활하다. 지구처럼 좋은 환경을 가진
행성
이 엄청 많을 수도 있다. 인류는 과연 이 광활한 우주에서 외톨이일까, 아니면 우주 어디에서나 생겨날 수 있는 존재일까. 만약 흔한 현상이라면, 인류는 왜 수억 개의 외계문명 중 단 하나도 아직 만나지 못한 ... ...
NASA가 중대발표란 이름의 ‘낚시’를 하는 이유
2016.09.27
들뜨게 할 만한 내용은 아니었다는 비판이 계속되고 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행성
과학그룹장은 “유로파 지하에 물과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다”며 “이번 발견도 중요하긴 하지만 아주 특별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NASA는 2018년 쏘아 올릴 예정인 신형 우주 ... ...
[경주지진] 규모 5.8 강진의 원인은 며칠 남지 않은 추석 때문?
2016.09.13
만월에 가까운 음력 12일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사토시 이데 일본 도쿄대 지구
행성
학과 교수팀은 규모 5.5 이상의 대형 지진 1만여 건을 분석한 결과 ‘삭망(朔望)’인 날 지진의 규모가 더 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12일자에 발표했다. 삭망은 달이 없는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