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뉴스
"
의사
"(으)로 총 4,47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생명 직결 필수의료 살린다...응급, 신생아·산모 의료체계 개편
2023.01.31
학회 세부전문의 수련 과정 개편 지원, 필수의료 분야 헌신한 의료인을 위한 한국의
의사
상(가칭) 도입, 간호인력 확충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조규홍 장관은 "이번 대책은 필수의료 기반을 강화하는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필요한 분야에 대한 추가 대책을 마련하는 등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써 놓은 내용을 믿지 말고 무엇이든 직접 확인하라고 했다. 권위자(의학에서는 2세기 로마
의사
갈레노스)가 남겨 놓은 지식을 무조건 믿고 따르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것이다. 17세기에 하비(William Harvey)는 관찰과 실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피가 온몸을 순환함을 보여 주었다. 그 전까지는 피가 ... ...
대형병원 분원 '러시' 수도권 6000병상 추가…
의사
증원 이어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이에 준하는 대형병원은 입원과 수술 등 다양한 진료가 이뤄지는 특성상
의사
보다는 간호사 인력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며 “의료인력 수급 전반에 관한 문제는 정부와 지속적으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와 의협은 전날 의대정원 확대와 필수의료 확충을 포함한 의료 ... ...
'과학 투명성' 위협하는 챗GPT...국제학술지 잇따라 새 지침 내놔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가능하다. 같은 방식으로 원하는 글도 작성할 수 있다. 최근 챗GPT가 작성한 논문이
의사
·MBA·로스쿨 시험을 통과하고 표절 검사까지 통과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투자 리서치 회사 에이아르케이 인베스트는 지난 22일 기준 챗GPT의 일 사용자수를 1500만명으로 추정했다. 연구 ... ...
[과학게시판] 원안위, 신한울 2호기 현장방문 및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논의했다. 유국희 위원장은 “원안위는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원자력 안전 관련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만큼 과학기술에 기반해 합리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회의 운영 등 발전방향에 대해 구체적 개선방안을 정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원안위는 운영허가 심사가 진행 중인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개체가 다른 개체로부터 피를 전달받을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고, 1818년 영국의 산부인과
의사
인 제임스 블런델(James Blundell)은 혈액이 부족해 죽어가는 산모가 건강한 가족의 혈액을 수혈받을 수 있도록 해 산모가 생명을 다시 찾을 수 있었다. 파라바이오시스(parabiosis)를 통한 젊은 쥐와 늙은 ... ...
발달장애 위험 높다는 시험관 아기…"학업 능력 차이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발표했다. 같은 해 영국 킹스칼리지런던과 미국 마운드시나이 의대 연구팀이 ‘미국
의사
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에 발표한 연구에서도 같은 결론이 나왔다. 신소연 분당차병원 난임센터 교수는 "초기 체외수정 시술에선 다태임신과 이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발달능력 저하 위험성이 ... ...
원격진료로 신장암 ‘명의’ 찾은 베트남 환자…한국서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VOIDOC)’으로 첫 진료가 이뤄졌다. 보이닥은 ‘음성
의사
(Voice-Doctor)’ 및 ‘보이는
의사
’라는 의미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영상을 통한 상담을 지원한다. 환자의 기록은 보안시스템으로 안전하게 관리된다. 원격진료를 통해 환자의 컴퓨터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결과를 ... ...
과학자들이 손을 안 씻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1.23
발견은 우연한 계기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연구의 필수 덕목인 청결을 지키지 않거나
의사
소통에 오해가 생겨 본의 아니게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는 사례도 있다. 사카린은 1879년 아이라 렘슨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와 그의 제자 콘스탄틴 팔베르크에 의해 발견된 물질이다. 대학원생이었던 ... ...
차례상 모둠전 맛있는 이유는…"전·튀김에는 올리브유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3.01.22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이들은 화학반응을 통해 약 1000가지 향을 만들어낸다. 프랑스의
의사
겸 화학자 루이 카미유 마이야르가 당과 아미노산의 반응기작을 연구하다가 발견한 '마이야르 반응'이다. 마이야르 반응에서는 전의 겉면을 노릇하게 만드는 갈색 물질인 멜라노이딘이 만들어진다. 잘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