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97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빛 나눠 작물 생육·태양전지 충전 ‘두토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5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온라인으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김형석 KIST 스마트팜
융합
연구센터 센터장 연구팀이 스마트팜 작물 재배 온라인 컨설팅 서비스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형석 센터장은 “비대면 온라인 재배컨설팅은 기존 재배컨설팅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 ...
인간 뇌 닮은 ‘뉴로모픽’ 컴퓨팅 성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높일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연주 인공뇌
융합
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인 ‘멤리스터’ 소자의 고질적 문제점을 해결해 고성능·고신뢰성 뉴로모픽 컴퓨팅이 가능한 인공 시냅스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 ...
홍수에도 끄떡없는 친환경 제방 보강 공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연구팀이 친환경 바이오폴리머로 만든 보강로 하천이 범람해도 오래 견딜 수 있는 제방을 보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건 ... 예방할 수 있는 안전한 기술일뿐 아니라 탄소중립 등 환경적 이슈에도 대응할 수 있는
융합
적 연구 성과"라고 평가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숲'
동아사이언스
l
2022.08.20
인한 세계 숲의 취약성과 잠재적 회복력을 6편의 논문을 통해 다뤘다. 산림과학은
융합
의 학문인 만큼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이 숲에 대해 분석한 연구결과를 모았다. 생태학자와 식물학자는 전세계 수천 개의 산림에서 나무의 성장과 토양 속 영양소를 측정했고, 물리학자들은 드론과 위성이 ... ...
슈퍼컴 6호기 구축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사업으로 기초과학 수준을 높여 국내 과학기술 혁신 역량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
융합
연구를 확대해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등 가시적인 효과도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에는 내년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2726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이 사업은 ... ...
진짜 같은 인공장기 기술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기대되는 인공장기 기술의 트렌드를 분석한 논문이 나왔다. 포스텍(POSTECH)은 장진아 IT
융합
공학과·기계공학과 교수팀이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한 인공장기 제작법을 집대성해 국제학술지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인공장기는 인간의 장기를 대체할 수 ... ...
팬데믹 교훈 발판 삼아 의료계도 '의사과학자' 양성 목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때부터 과정이 시작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포스텍은 지난 5월 오는 2023년까지 이 대학
융합
대학원 안에 의과학대학원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포스텍이 보유한 방사광가속기, 세포막단백질 연구소 등 바이오분야 인프라가 적극 활용될 계획이다. 최종 목표는 공학 기반의 연구중심 의대의 설립이다. ... ...
김형준 KIST 소장 "뉴로모픽 반도체 국가전략무기화 기반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반도체를 선보이고 있다. KIST 제공 이날 세미나에서는 김 소장 발표에 이어 김재욱 인공뇌
융합
연구단 선임연구원과 같은 연구단 소속 박종길 선임연구원의 연구성과 브리핑도 공개됐다. 이들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두뇌 신경망의 동작 원리를 모사한 대규모 디지털 뉴로모틱 시스템 ‘뉴플러스’와 ... ...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 표면 일부 날아가는 대폭발 겪어
연합뉴스
l
2022.08.12
있는 베텔게우스는 반지름이 태양의 800배, 질량은 태양의 20배에 달하는 별로, 수소 핵
융합
이 끝나고 헬륨을 태우며 부풀어 올라 태양계로 따지면 광구가 목성거리까지 팽창한 적색초거성 단계에 있다. SME는 지난 2019년 별 내부 깊은 곳에서 160만㎞ 넘는 영역에 걸쳐 용솟음친 대류 기둥에 의해 ... ...
전기차 배터리 성능 저하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1
KIST)은 장원영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김승민 전북분원 탄소
융합
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투과 전자현미경 정밀 분석으로 그동안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충전방식인 정전류-정전압 방식이 조건에 따라 배터리의 성능 저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1일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