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혐오스런 바퀴벌레지만... 과학자에겐 매력적인 이유
과학동아
l
2017.08.18
가능하다. 지난해 2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폴리페달 생체역학
연구실
로버트 풀 교수와 하버드대 로봇공학자 코식 자야람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은 외골격이 마치 트럼프카드를 여러 장 펼친 듯한 모양이다. 판들이 서로 겹쳐지면서 몸을 절반가량 납작하게 만들 수 있다. 산사태나 ... ...
[종합] 박기영 과기혁신본부장 사퇴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혹은 적극적 가담자로 표현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황우석 교수의 서울대
연구실
에 대통령을 모시고 간 사람은 제가 아닙니다. 2003년이었기 때문에 그 당시 저는 보좌관이 아니었습니다. 제가 아니라는 것을 가장 잘 아는 실험실 당사자조차도 제가 모시고 간 것으로 쓰고 있습니다. ... ...
[사이언스 지식In]용가리과자 속 액체질소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때 다른 물질을 액화질소에 담그면 순식간에 얼어버리는데요. 이 특징 때문에 병원이나
연구실
에서 세포나 박테리아를 급속 냉동할 때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냉동인간 연구에도 쓰인다고 하네요. Q. 살아있는 생명체가 영하 196도의 액화질소를 만지거나 먹었을 때는 위험할 수밖에 없겠군요. 이번 ... ...
도쿄대 와타나베 요시노리 교수 논문 조작 파문…아시아 3국은 논문 조작 중?
2017.08.03
다르고 와타나베 교수는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어느 특정 연구원의 조작이 아니라
연구실
내의 문화 자체가 그조작에 무감각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제보 사건의 발단은 지난해 8월이었다. 14일과 29일 이틀에 걸쳐, '보통 연구자'라는 이름의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도쿄대 소속 6명의 교수 논문 2 ... ...
페이스북 AI가 만들어낸 알 수 없는 언어…두려워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결정하고 핵미사일 버튼을 누를 듯한 긴박함이 느껴집니다. 과연 페이스북의 인공지능
연구실
안에선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페이스북 인공지능연구센터 (FAIR)는 인공지능 챗봇에게 협상 하는 법을 가르치려 했습니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인공지능 개발이라는 이 업계의 ... ...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⑦] 학생연구원 처우 개선, 대학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홍 단장은 “대학은 출연연보다 교육의 기능이 강한 만큼 임금이나 근로환경 개선보다는
연구실
안전 강화, 상해 보상, 연구의 지속성 등 학생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교육할 것인가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임금 문제 역시 교수가 연구비를 수주해 학생들의 인건비를 지급하도록 하는 대신 ... ...
남겨진 DNA로 범인 행동 분석까지…진화하는 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7.07.28
적 없는 ‘네버 스모커(완전 비흡연자)’입니다.” 16일 서울 연세대 신촌캠퍼스
연구실
에서 만난 이환영 연세대 법의학과 교수 앞에서 기자의 신상은 탈탈 털렸다. 미리 작은 병에 뱉어 전달한 침 속 유전자(DNA)를 분석한 결과다. 연령대와 평소 생활 습관까지 추정해 냈다. 만 29세인 기자의 나이를 ... ...
출연硏 학생연구원도 근로계약 체결… 산재 등 4대 보험 보장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국민건강보험·국민연금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등 4대 보험을 보장받게 된다.
연구실
사고로 신체상의 상해를 입었을 경우, 산재(産災)가 적용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근로계약에 명시된 근무시간 외에 초과 근무를 할 경우 시간외근로수당(야근수당)을 받고, 경력에 따른 연차수당도 받을 수 ... ...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
과학동아
l
2017.07.22
해리슨 마케팅 팀장은 e메일 인터뷰에서 “이동식 플랫폼으로 건조해 온 미세 조류들은
연구실
에서 독성을 제거하고, 확인하는 작업을 거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우리의 최종 목표는 조류가 독성 물질을 뱉기 전 정기적으로 조류를 수확해 공정절차를 줄이고, ... ...
[ESC의 목소리 (15)] 학부 공학 교육이 망가지고 있다
2017.07.22
온갖 아이디어가 나와도 결국 중요한 것은 교수가 학생을 이해하려는 노력이다. 내
연구실
대학원생 중에서도 아무래도 제일 고학년차 학생(학부 06학번)들을 제일 자주 만나게 된다. 95학번인 나와 11년 차이가 나니 아무래도 적지 않은 세대 차이를 느낀다. 근데 학부 신입생들은 이 대학원생들하고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