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뉴스
"
면적
"(으)로 총 1,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작물이 지구 이산화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
2014.11.20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을 때와 높을 때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농지
면적
은 지구 전역에서 20% 정도 증가한 반면 육종과 비료, 관개 기술이 발전하면서 작물 생산량이 무려 3배나 증가했다. 연구진은 작물의 생산력이 높아지면서 잎과 줄기, 뿌리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양이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기존 평면(2차원) 구조였던 분리막을 3차원 구조로 만들면서 두께는 두꺼워졌지만 표
면적
이 넓어져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내구성도 높아졌다. 유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구조를 이용하면 더 튼튼하면서도 처리속도가 3~4배는 빠른 분리막을 만들 수 있다”며 “분리막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 ...
태양빛으로 물 깨끗하게~
2014.10.26
크기로 정렬되 있다(b). 나노튜브를 확대하니(c) 거친 표면과 빈 공간 많아 표
면적
이 넓다(d). -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특히 연구진은 새로 만든 촉매로 오염물을 분해하는 실험과 함께 정화한 물이 살아있는 세포에 안전한지도 추가로 확인했다. 색깔을 띠는 화학 염료를 물에 섞은 뒤 분해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기존 바이오칩 내부에 기계기술을 활용해 미세한 패턴을 만들면
면적
을 넓힐 수 있어 감도가 좋아진다”고 말했다. 포럼에 기조 강연자로 참석하는 바이오칩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 루크 리 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는 “초미세 공정을 만드는 나노 기계기술과 생체 특성을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수정했다. 로봇이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비율을 수정해서 바닥에 닿는 표
면적
을 최대화하자 뱀 로봇도 모래언덕을 올라가는 데 성공했다. 조 멘델슨 애틀란타 동물원 연구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외계 행성과 건물 붕괴 현장, 고고학 탐사 현장처럼 열악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 ...
우뭇가사리로 자동차 연료 만든다
2014.10.05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바이오연료”라며 “우리나라
면적
의 20분의 1에 해당하는 바다에서 연료용 해조류를 재배할 수 있다면 국내 자동차 휘발유 소비량의 31%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해수면 상승 앞당기는 건 ‘그린랜드 빙하’
2014.09.29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그린란드를 뒤덮은 빙하
면적
은 우리나라
면적
의 약 17배에 달하는 170만 ㎢로, 빙하 표면이 녹아서 매년 2000억 t의 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분량은 전세계 해수면을 약 0.06mm 높이는 정도로 연평균 해수면 상승량인 3mm 에 비해 ... ...
그래핀 결함만 찾아내 수리한다
2014.09.10
금이 가는 등 결함이 발생해 그래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대
면적
그래핀의 결함이 가스와 잘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백금 전구체’ 가스를 결함 부위에 정교하게 흘려주면 결함 부위에서 흡착이 일어나 그래핀의 결함이 치유됐다. 백금 전구체는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등의 요인으로 개체수가 늘어날 경우 기존의 행동패턴을 유지한다면 전체적으로 단위
면적
당 개체수가 늘어난다. 그러면 개체 간 먹이(풀)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천적의 입장에서는 매일매일이 잔칫날이다. 이 경우 차라리 더 밀집해 무리를 이루는 게 유리하다. 즉 수억 마리가 떼로 ... ...
‘건강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4.08.28
이 과정이 필요 없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이 양자점으로 만든 디스플레이가 단위
면적
(m2) 당 1000칸델라(cd) 이상의 높은 휘도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 이는 휴대전화 화면의 최대 밝기를 넘어서는 광도다. 전 교수는 “양자점의 발광 효율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